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놓지 않으면 AI의 얼굴 인식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AI 자체의 기술적인 한계도 있다. 오류가 발생하면 고칠 방법이 없다. 자기 학습 능력에 의해 스스로 발목이 잡히는 꼴이다. 가령 A의 얼굴을 반복적으로 B라고 인식할 경우 A의 사진을 계속해서 보여주면서 이것이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미를 네 마리쯤 집어 새끼손가락만한 튜브에 넣었다. 그는 “무리하게 채집하면 군체자체가 손상돼 복구가 불가능해진다”며 “흙 표면에서 일개미 몇 마리만 채집하고 끝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동 씨는 그마저도 연구 목적일 때만 채집한다고 했다. 실제로 그는 이날 여섯 종 이상의 개미를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는 “핵실험이 화산 분화를 일으킬지 모른다는 걱정보다는, 함몰지진을 야기한 핵무기 자체가 더 걱정스러운 문제”라고 말했다. “자연 분화는 언제든 가능”북한의 핵실험 여부와 관계없이 백두산이 자연적으로 분화할 가능성은 없을까. 백두산의 자연 분화 가능성에 대해 전문가들은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쫓기는 기분으로 사소한 일에 신경질적으로 반응한다. 대인관계도 어려워지고 일상생활 자체가 힘들어진다. 신경과학자들은 기억과 트라우마의 관계를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을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세포와 분자 수준에서 트라우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을 연구해, 생리학적으로 이를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바로 들통나니까 안전하지 않다는 생각이 드나요? 오히려 정보를 숨겼다는 사실 자체를 알아채기 어려워 복잡한 암호보다 안전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테러범이 주고받는 정보 중에서 국가기밀 같은 정보를 찾아내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주고받는 모든 정보를 하나하나 확인할 수 없으니, 중요해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해빈 커습은 크기가 점점 커지는데, 이것을 설명하진 못하죠.그래서 나온 이론이 ‘자체 조직 이론’이에요. 바다 바닥의 일부분이 우연히 깎여서 낮아지면 그곳은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빨라져요. 빨라진 물은 그곳을 더욱더 빠르게 깎아내고, 그 지역은 더 낮아지죠. 반대로 주변의 깎이지 않은 높은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아시아의 다른 국가에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 분석 모델은 천문연이 자체 개발해 쓰고 있다. 현재 태양폭풍 예측 정확도는 70% 정도. 김 선임연구원은 “이 모델을 이용해 9월 8일 발생한 태양폭풍 세기를 3일 먼저 거의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밝혔다. 천문연은 202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양자컴퓨터의 큐비트로 많이 연구되는 이온 트랩 방식이나 구글의 초전도체 방식은 입자 자체의 양자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의 작은 자극에도 큐비트의 양자 상태가 금방 깨져버린다. 그만큼 안정적이지 못하다. 반면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2개씩 쌍을 이뤄 다니는데, 2쌍이 만들어지면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개발됐다. 따라서 사이보그의 팔 끝에 전자 의수처럼 달린 캐논포를 작동시키는 것 자체는 일도 아니다. 남은 숙제는 좀 더 복잡한 손동작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의수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간의 손은 29개의 관절, 34개의 근육, 그리고 123개의 인대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의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서양에서도 예로부터 알골은 거대한 비극을 예고하는 별이었다. 알골이라는 이름 자체가 아랍어로 악마라는 뜻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알골을 ‘적시성(積屍星)’이라고도 불렀다. 알골이 나타나면 큰 재난이 벌어져 시체가 쌓이게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내가 쓴 보고서는 진상을 아는 사람들의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