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이 가득한 벌집, 곤충계의 건축 박사 꿀벌을 만나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지금까지 허니 씨의 집을 알아봤습니다. 의외로 허니 씨는 수학을 잘 몰랐지만, 역시나 자연은 그 누구보다 수학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앞으로 수학적으로 궁금한 게 있으면 집 앞의 나무를 관찰하는 게 답을 빨리 찾을 수 있는 지름길인지도 모르겠네요. 그럼 저는 허니 씨가 준비해준 달콤한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제주 앞바다에 사는 남방큰돌고래의 터전이 훼손된 거예요. 바다를 지키기 위해서는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화장실이 필수예요. 이게 바로 똥본위화폐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유지요. 그래서 핫핑크돌핀스 사무실의 화장실에는 양동이와 톱밥, 두 가지가 전부예요. 양동이에 배변을 하고 톱밥으로 ... ...
- [가르친당 기호4 쌤킴] 백년대계 지름길은 과학 공교육 강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아래로” 2019년 11월 출생아가 사망자보다 적어 역대 11월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했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도 역대 최저인 0.92명을 기록했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전체 인구 규모가 쪼그라드는 ‘인구절벽’이 현실이 되고 있다. 인구절벽 문제는 대학의 정원 감축뿐만 아니라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4화. 방정식의 근과 대칭은 무슨 사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본능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하나씩 세는 수를 우리는 ‘자연수’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자연수만으로는 표현할 수 있는 수가 너무 제한적이었습니다. ‘사과 1개를 2명이 나눠 먹으면 각자 사과를 얼마나 먹을까?’와 같은 단순한 계산조차 할 수 없었죠. 이는 곧 1/2 같은 ‘유리수’가 등장하며 ... ...
- [오일러 프로젝트] 200만 이하 소수의 합은 얼마일까? 블랙 위도우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개수가 3개 이상인 합성수를 체로 거르듯 지워나가 소수만 남기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자연수 2부터 10에서 소수만 얻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수학자들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소수를 찾고, 그 사이에서 규칙을 알아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규칙을 알면 모든 ... ...
- [미국유학일기]전공, 교양, 연구까지 소방호스로 쏟아붓는 공부량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실험 수업도 하나씩 들어야 한다. 심지어 나와 같은 컴퓨터과학 전공자들은 이외에도 자연과학 수업을 두 개 더 들어야 한다. 여기에 인문학(역사, 철학, 문학 등)과 사회학(경제, 경영, 심리학, 정치학 등) 수업에서 4년 동안 총 12과목을 수강해야 한다. 5000단어 이상의 에세이를 써야 하는 수업도 ...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항원)으로 삼는 백신(항체)을 개발할 수도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코로나바이러스는 자연 숙주인 박쥐에서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만들어내고 있을 것이다. 다양하게 재조합된 코로나바이러스는 언제든 중간 숙주를 거쳐 인간에게 도달하거나 인간에게 직접 침투해 우리의 ... ...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비난도 억울한 측면이 있다. 지금처럼 문명이 발달하기 전의 인간을 생각해 보자. 인간은 자연에 존재하는 과일을 따 먹고, 동물을 잡아먹었다. 인간의 몸속은 기생충에겐 우주 그 자체, 그 안에 있는 음식을 먹는 게 그리 나쁜 일일까? 기생충에 관한 또 다른 오해는 기생충이 사람에게 여러 가지 ... ...
- [수학뉴스] 아벨상 수상자 루이스 니런버그 96세 나이로 타계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따른 변화를 알고 싶을 때 쓰는 방정식으로, 물의 움직임, 공기의 흐름, 불의 번짐 같은 자연 현상이나 복잡한 사회 현상 등을 설명할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니런버그는 선형,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의 기초 이론에 이바지했을 뿐만 아니라 기하학과 같은 다른 수학 분야에 편미분방정식을 적용해 활용 ... ...
- [오일러 프로젝트] 세 자릿수를 곱해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칭수는? 조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컴퓨터과학자 프레드 그루엔버거는 미국의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어떤 자연수로도 대칭수를 만들 수 있는 알고리듬을 발표했습니다. 예를 들어 13은 알고리듬을 따르면 13+31=44이므로 대칭수가 됩니다. 64는 어떨까요?64+46=110으로 대칭수를 만들지 못하지만, 한 번 더 과정을 반복하면 110+11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