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도
몸가짐
태세
포즈
자태
행동
행실
d라이브러리
"
자세
"(으)로 총 1,377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를 어느 정도 막아주는 손 떨림 방지 기능이 기본적으로 들어가기는 하지만, 안정적인
자세
에서 오랜 시간 찍을 수 있는 체력도 필요하다.넓은 화면으로 볼 수 있는 LCD창은 보기에는 편하지만 금새 배터리를 잡아먹는다. 따라서 되도록 뷰파인더로 찍는 연습을 하는 방법도 디지털캠코더를 쉽게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만한 가치가 높다고 말할 수 있다. 투철한 도전 정신, 성격이 너무 다른 두 분야를 수용할
자세
, 이를 기반으로 두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생각해볼 만한 분야다 ... ...
3. 진화생물학 받아들이는 성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부단히 노력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진정한 인간의 모습이다. 정복자 아닌 참여자
자세
필요해이처럼 성리학은 현대과학이 초래한 여러 문제점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성리학은 분석적 환원주의를 기초로 한 현대과학의 한계를 유기적 전체론으로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또한 자연을 ... ...
세계 종자시장에서 우위 차지하기 위한 출발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목표”라고 최단장은 설명한다.단지 우리의 것을 뺏기지 않겠다는 수동적인
자세
가 아니다. 세계를 무대로 우리의 기술을 파는 것까지도 사업단은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작물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은 연구비의 70%를 유용유전자 확보에 배분하고 있다. 10년 간의 최종 목표가 새로운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쪼그려 낳는 것이 조선여인의 일반적인
자세
라는 설명이 덧붙어 있었다. 생각해보니, 이
자세
가 누워 낳기보다 한결 쉽게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방법이었다. 임신 중 여아를 남아로 바꾸는 ‘전녀위남법’(轉女爲男法)도 필자의 관심을 끌었다. 이 전통이 무려 2천년 전 중국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 ...
티라노사우루스 느림보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말이다. 양쪽 다리가 몸통에서 직각으로 꺾이는 악어나 도마뱀의 모습과는 매우 다른
자세
다. 고양이와 악어가 움직이는 모습을 생각해보면 차이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공룡 발자국 화석에는 대개 여러개의 발자국이 나타난다. 이들 발자국은 공룡이 걷거나 달리며 만든 보행렬이다. 공룡의 ... ...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좌우측으로 멀리 보낸다. 물론 상대선수가 없는 곳으로. 그래야만 자신이 다시 수비
자세
를 정비할 시간을 벌기 때문이다.수비수와의 의사소통은 특히 중요하다. 그래야만 골키퍼가 막지 못한 공을 수비수가 걷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공이 골대 근처로 오면 수비수에게 자신이 나가거나 나가지 ... ...
4. 돛올린 국내 초전도기술 개발의 현장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자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서로의 연구 과제뿐만 아니라 삶을 공유하는
자세
가 중요합니다. 일체형 팀워크를 만들어내기 위해 전체가 모여 계획과 정보를 교환하는 오픈 미팅을 자주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힘주어 말하는 류단장의 진지한 표정에 우리나라 초전도 응용기술의 ... ...
디지털 시대의 인체 적신호 VDT 증후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수 있는 마우스도 등장했다.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컴퓨터 사용에 있어 바른
자세
를 갖추고 적절한 휴식을 취함으로써 신체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다. 즉 VDT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 스타일과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작업 시간은 총 4시간 이하, 1회 연속 작업은 5 ... ...
마음으로 깨닫는 물질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인류 보편의 자산이다. 이런 새로운 원리를 깨닫는 데는 스스로 생각하고 비판하는
자세
가 필요하다. 바로 ‘과학과 문화’ 강의가 강조하는 부분이다.인류가 발전시켜온 물질세계의 원리는 무수히 많고 또한 다양하다. 복잡한 수식과 난해한 실험결과 해석에만 매달려 과학을 이해하려다 보면 정작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