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곤충, 날개 위 소용돌이 유지해 ‘슝~’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곤충 비행은 전진과 제자리비행이 모두 가능하고 돌풍에도 뛰어난 안정성을 보인다. 그 비결이 날개 주위의 복잡한 소용돌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장조원 한국항공대 항 ... 연구 결과를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유체역학저널’ 11월 3
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링딩동’ ‘암욜맨’… ‘수능금지곡’의 특징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어떤 노래가 머릿속에 떠나지 않고 하루 종일 맴돌 때가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귀벌레’ 현상이라고 부른다. 최근 영국 더럼대와 골드스미스대, 런던대 및 독일 튀빙겐대 공동 ...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미학, 창의성, 예술심리학’ 11월 3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이제 소리도 홀로그램으로 즐기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홈 스테레오 시스템이 없어도 음향을 풍성하게 즐길 수 있을까. 최근 소리를 원하는 곳으로 모으거나 널리 퍼뜨릴 수 있는 ‘3차원 음향 홀로그램’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듀 ... 가상현실 체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월 14
일자
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심장 건강에 좋은 초콜릿 만드는 비법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사람에게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영양학’ 10월 14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1139명을 대상으로 플라바놀 함량이 166~2110mg로 다양한 초콜릿 19가지를 2~52주 동안 먹게 했다. 그리고 실험 참가자들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플라바놀을 매일 200~600mg씩 먹은 사람들에서 ... ...
[과학뉴스] ‘화성의 달’ 속 거대 크레이터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화성 주변을 도는 위성 가운데 가장 큰 포보스(지름 22km)는 표면에 지름이 9km나 되는 거대한 ‘스티크니 크레이터’가 있다. 이것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 ...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구물리학 연구지’ 10월 8
일자
에 실렸다 ... ...
[포커스 뉴스] 우주 극한환경 만들어 물질 결정의 본모습 찾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월 24
일자
에 실렸다.KRISS 연구팀이 정전기 공중부양장치를 이용해 극환 환경 물성 실험을 하고 있다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120kPa의 압력이 가해져 화산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17
일자
에 발표한 바 있다.북한이 핵실험을 벌이는 풍계리는 지난 9월에 지진이 발생했던 양산단층대보다 훨씬 연약한, ‘길주-명천 지구대’라고 하는 대형 단층대와 불과 3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그리고 그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최근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서정선 교수와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공동연구팀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한국인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해독해 냈다.유전체 ... 부작용이 적은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10월 5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남기지 않고 분해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는 니트로셀룰로스로 마술사가 불을 붙였을 때 재를 남기지 않고 감쪽같이 사라져버리는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영국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 ...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7
일자
에 발표됐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