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WHO(세계보건기구)가 정한 하루 섭취 권장량의 1/3 밖에 되지 않지. 관동대학교 가정
의학
과 오한진 박사는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탈수현상이 3개월 이상 계속된 만성탈수일 가능성이 높다고 걱정했어.콜라도 액체인데 왜 탈수일까?사람은 몸속의 물이 1%만 부족해도 목마름을 느끼지. 이때 물이 아닌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WHO(세계보건기구)가 정한 하루 섭취 권장량의 1/3 밖에 되지 않지. 관동대학교 가정
의학
과 오한진 박사는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탈수현상이 3개월 이상 계속된 만성탈수일 가능성이 높다고 걱정했어. ● 콜라도 액체인데 왜 탈수일까? 사람은 몸속의 물이 1%만 부족해도 목마름을 느끼지. 이때 물이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올해도 일본은 노벨상 수상자를 세 명 배출했다. 이번엔 물리학상이다. 이제 일본의 수상은 놀랍지 않다. 노벨상, 특히 과학 분야 상을 발표할 때가 되 ...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
의학
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똥만 잘 연구해도 세계적인 상을 받을 수 있다. 체코생명과학대 경영게임·야생생물학과 블라스티밀 하르트 연구팀은 개가 똥 싸는 모습을 2년 동안 참을 ...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
의학
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과학뉴스] 배아줄기세포로 중증 눈질환 치료 성공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셀 테크놀로지’사의 로버트 란자 박사와 미국 UCLA 스티븐 슈바르츠 교수는 영국
의학
전문지 ‘란셋’ 10월 14일자에 이번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연구진은 스타가르트 황반이영양증 또는 노인성 황반변성을 앓고 있던 환자들의 눈에 배아줄기세포로 만든 망막색소상피세포를 이식했다.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해열제를 잘못 쓰고 있다.이런 발열공포는 어디에서 유래된 걸까. 김도균 서울대 응급
의학
과 교수는 “열에 대한 공포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인간이 무방비로 당할 수밖에 없던 과거의 아픈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 지금보다 생활 환경이나 의료 수준이 열악했던 시절, 특히 심각한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했다”고 이야기했다. 생명도 구하는 오리가미오리가미는 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
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동맥이나 정맥 같은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거나 찌꺼기가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건강을 위협한다. 이때 원기둥 모양으로 짠 금속 그물(스텐트)을 끼우는 수술을 하면, ... ...
PART 3. 생리
의학
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우리는 항상 길 찾기를 한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목적지까지 길을 잘 찾아가는 걸까. 길 찾기에는 생각보다 복잡한 능력이 필요하다. 현재 내가 어디에 ...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
의학
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됐나 봅니다.”현대인이 정말 바보가 돼가고 있다면 원인은 무엇일까. 신경학자와 정신
의학
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을 꼽고 있다. 특히 검색의 대명사, ‘구글’이 주범으로 꼽힌다.이 주장의 선봉장은 독일 울름대 의대의 만프레드 슈피처 교수(정신병원장)다. 그는 2012년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싶은 마음이 그가 KAIST에 입학한 이유다. 겜메츄 씨는 뇌과학이나 의과학처럼 공학과
의학
을 융합한 분야로 진출해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게 꿈이다.아프리카로 입학설명회 떠난 KAIST최근 아프리카의 과학영재들이 KAIST에 지원하는 비율이 크게 늘었다. 올해 가을학기에만 아프리카에서 학사과정 5명,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