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d라이브러리
"
융합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영화와 공연, 전시, 드라마 등 다양한 대중문화를 다룰 예정입니다. 과학과 문화를
융합
하는 톡톡 튀는 과학 글쓰기에 도전하실 분도 모시고 있습니다. 과학동아(ds@dongascience.com)로 메일을 보내주세요.줄거리영화 ‘트론: 새로운 시작’은 1982년에 나온 ‘트론’의 후속편이다. 주인공 샘 플린은 천재 ...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씨(서울대 디자인학부)의 ‘오일랜드(석유의 역사)’와 구도형 씨(서울과학기술대 NID
융합
기술대학원)의 ‘그린피스’가 일반부 우수상을 받았다. 특히 가로 세로가 140×1920mm에 달하는 대형 작품인 ‘오일랜드’는 ‘2011 조립식 캘린더 브로마이드’로 재탄생해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로 ... ...
'수학 밖에서 수학 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과학’ 과목에서도 수학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김희준 서울대 화학과 교수는
융합
형 과학의 ‘우주와 생명’을 이해하는 데도 수학이 핵심적 역할을 한다고 소개했다. 즉 20세기 초 천문학자들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주기함수)을 이용해 외부은하의 거리를 구하고,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미래에는 썰매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지겠죠? *케이스타 : 한국이 개발한 초전도 핵
융합
연구 장치. 인공태양이라고도 불린다. 오색빛이 찬란한 거리 거리에 성탄빛~♫“슝~!”우와~, 산타 할아버지의 썰매를 타고 눈 깜짝할 사이에 2050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의 밤에 도착했어. 저기에 ... ...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를 생산하고 있다.일메나이트달에 있는 일메나이트는 헬륨3를 가득 담고 있다. 헬륨3는 핵
융합
의 원료로 쓰여 막대한 전기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천문학자 해리슨 슈밋에 따르면, 일메나이트가 많은 평온의 바다와 고요의 바다에는 20㎢ 크기로 3m만 파도 헬륨3를 약1000㎏를 얻을 수 있다고한다. 이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더 넓어진 시야로 바라본 플라스마 공학의 미래는 매우 밝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세계 핵
융합
연구의 중요한 기반 장치가 될 KSTAR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력을 갖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플라스마 관련 연구자의 탄생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과학기술에 대한 가슴떨림을 간직한 ... ...
핵
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관한 일을 할 수 있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핵
융합
플라스마는 영구적인 미래의 에너지원을 찾는 매력적인 학문이다.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성공하는데 좋은 여건이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미래지향적이며 창의적인 생각이 담긴
융합
학문이야말로 미래 과학의 세계를 주도해나갈 것이라 예상된다. 한편으로 이런 때일수록 기초 공부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함을 강조한다. 기초가 튼튼하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집으로 돌아오는 ... ...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기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자와 YTN의 임승환 기자를 선정했다.안경애 기자는 ‘나로호 1, 2차 발사’ ‘국가핵
융합
장치(KSTAR)’ 등을 다양한 각도로 조명했다. ’21세기 프론티어사업(14회)‘ ’과학나눔과 과학기부문화(8회)‘ ’대학연구센터 시리즈(20회)‘와 같은 시리즈 기획 기사로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한 점도 높은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한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배경과 지식을 지닌 사람들과 교류하게 돼 학문간
융합
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졌다. 만델브로 또한 프랙탈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IBM을 거쳐 간 여러 잡학 다식한 인재로부터 많은 도움을 얻었다.대표적 사례가 노이즈의 발생패턴에서 보이는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