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언젠가 닿기를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반전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사람도, 사람이 남긴 것도 쉽게 잊히고 사라진다고 위에선 썼지만, 그건 지질학적 시간에서고요. 적어도 멸망 전까진 기억으로, 아니 기록으로 끈질기게 살아남아 다음 누군가에게 닿을 겁니다. 그러고 보니 다큐멘터리로 만든 ‘인간 없는 세상’의 마지막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한파 “생존템” 온열 마우스패드 만들기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탄소잉크가 코팅된 부분을 따라 흐르면서 발열체 ‘면’에서 열이 발생합니다. 도선 주위만 따뜻해지는 열선과 구별되는 특징이죠. DC 12V 탄소계 면상발열체를 준비했습니다. 발열체 양면에 마우스패드를 부착하고, DC 12V(5A) 어댑터를 연결해 전원을 공급합니다. 금세 따뜻해진 마우스패드에 손을 ... ...
- 네, 그래서 이과가 충전식 휴지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만든 아디다스 운동화, 에르메스 핸드백 등 다양한 제품이 공개됐습니다. 다 쓴 휴지심 위에서 버섯 균사체를 키운다면 어떨까요. 류재산 국립한국농수산대 버섯학과 교수는 “종이도 버섯이 이용할 수 있는 유기물”이라고 했습니다. 나무를 원료로 만드는 종이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입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로 나누는 다양한 새해 인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바로 현대의 상형문자라고 불리는 ‘이모티콘’이죠. 여러분의 부모님이라면 아마 위 그림과 같은 이모티콘을 활용해 새해 인사를 해본 경험이 다들 있을 거예요. 이모티콘이 진화해 텍스트만으로 정밀한 이미지를 묘사하는 표현 방법을 ‘아스키아트’라고 한답니다. 현재, 그리고 미래의 ... ...
- [특집] 과학 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늘어나고, 동시에 밀도는 줄어들어요. 페트병을 얼리면 뚱뚱해지고, 얼음을 물에 넣으면 위로 둥둥 뜨는 이유가 이 때문이랍니다. 얼음, 어떨 때 잘 녹을까?자, 얼음이 어떻게 어는지 알았으니 반대로 잘 녹는 방법도 찾아봅시다. 얼음이 어떤 모양일 때, 어디에 넣었을 때 더 빨리 녹을까요? ... ...
- [매스미디어] Formula of Love : O + T = < 3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집합의 원소를 제외한 원소들의 집합을 말해요. 여집합과 교집합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아이돌 팬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설명해 볼게요. 벤 다이어그램은 집합들의 관계를 한눈에 보기 쉽게 나타낸 그림을 말해요. 아이돌 팬이 전체집합일 때, 온앤오프 팬 집합, 스트레이 키즈 팬 집합 두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쉽지 않았을 것 같다.시제품 개발 시 지혈에 필요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리콘 풍선의 모양과 두께, 강성 등 다양한 조건을 바꿔가면서 13번에 걸쳐 시험했다. 밸브도 7번에 걸쳐서 개발했다. 현재까지 약 1년이 지났지만, 리액트는 여전히 개발 단계에 있다. 문제에 공감한 많은 ... ...
- [인포그래픽] 민간 우주 스타트업과학동아 l2022년 01호
- ❶ 우주여행지난해 7월 블루 오리진과 버진 갤럭틱이 일주일 간격으로 약 100km 상공에 도달하는 우주여행 상품을 선보였다. 버진 갤럭틱은 45만 달러(약 5억 원)에 우주여행 ... 년 연장하는 데 성공했다. 갈고리 모양의 연결장치로 위성의 분사 장치를 잡아 도킹한 뒤 위성을 이동시켰다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에 생태계 피라미드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이처럼 생산자부터 높은 단계의 소비자로 올라갈수록 생물의 수는 줄어듭니다. 그래서 위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피라미드가 생태계의 모습을 잘 보여준답니다. 세 번째 생태계 구성 요소를 추가해 피라미드 완성하기 생태계는 비생물 요소와 생물 요소로 나뉘어요. 생물 요소는 다시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문장은 참이다’가 성립합니다. 따라서 위 문장은 참이 됩니다. 이것 또한 모순이므로 위 문장은 참이어야 합니다. 이 말도 안 되는 결론이 바로 거짓말쟁이의 역설입니다. 역사적으로 수학자들은 거짓말쟁이 역설이 언어에서만 나타나는 역설이라고 생각해 큰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거짓말쟁이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