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직접 프랑스를 다녀오셨다고요?그렇습니다. 우리나라가 보관하고 있는 111번 원기와 우리나라 키블 저울로 측정한 수치를 가지고 올해 2월, 프랑스의 국제 비교에 참여했어요. Q 질량을 잰 원기를 직접 가지고 가셨군요?맞아요. 원기는 한 번 잃으면 복원할 수 없는 소중한 물건이라 비행기를 타고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깃털, 원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북한군이 금고의 귀중품을 훔쳐가면서, 원기의 용도를 알지 못하고 버린 것이죠. 이후로 우리나라는 3개의 킬로그램 원기를 더 도입했지요.지금은 미터와 킬로그램의 정의가 원기에서 자연 현상으로 바뀌었지만, 원기는 여전히 실험 측정 등에 쓰이고 있답니다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무려 32시간 19분 동안 땅에 한 번도 내려오지 않고 제주도 곽지해수욕장 위를 날며 우리나라 최장 비행 시간 기록을 세웠지요. 과연 그 비결은 뭘까요?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 연료가 필요 없어요. 비행기의 날개에 붙어 있는 태양전지가 태양빛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면, 이 전기 에너지로 ...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kg에 도오전! 키블저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어두컴컴한 이곳 지하에 거대한 육면체 모양의 기계가 숨겨져 있습니다. 그 정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정밀한 ‘키블 저울’! 왜 연구원들은 이렇게 크고 정밀한 저울을 만든 걸까요? 지난 6월 22일,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kg을 찾으러 이창욱 기자가 대전을 다녀왔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이번 시민과학자 풀씨 활동 중 박쥐를 발견하지 못해도, 탐사 활동 자체만으로 우리나라의 도심 박쥐 연구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Q&A “어린이들이 박쥐와 친해져, 박쥐와 더불어 사는 어른으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시민과학풀씨 현장 교육에서 만난 류흥진 ...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신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구분하고 진화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특징이거든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청개구리속은 청개구리, 수원청개구리, 노랑배청개구리 3종으로 늘어나게 됐답니다. 연구에 참여한 인포보스 배윤혁 연구원은 “노랑배청개구리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인한 낙인과 차별을 피할 수 있어요.” Q 사회역학자란 직업이 있는지 처음 알았어요! 우리나라에서 의대와 보건대학원을 마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로 유학을 갔습니다. 이곳에서 사회역학에 대해 알게 돼 진로를 바꿨지요. 한국에 있을 때 진료를 보며 무력감을 느낀 적이 많았습니다. 허리 ... ...
- [기획] AI가 자연의 소리를 학습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머지 않은 미래에 스마트폰 앱으로 우리나라 생물들의 소리를 검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
- [헷갈린 과학] 뉴트리아 vs 카피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능숙해 갈대 등 물속 식물을 먹지만 가끔 땅으로 올라와 농작물을 먹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고기와 가죽을 얻기 위해서 뉴트리아를 들여왔어요.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수익성이 떨어져 2000년대 초반, 농가에선 뉴트리아를 야생으로 버렸고, 생태계에 천적이 거의 없던 이들은 강한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위성 자료, 지상 자료를 분석해 한반도의 강수 유형이 양극화 추세를 보인다고 밝혔죠. 우리나라에선 많은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내리는 장마 같은 온난형 강수가 줄고, 대기 불안정으로 천둥, 번개 등을 동반하며 좁은 지역에 쏟아지는 한랭형 강수가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많아지는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