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드는 기술이 아직 부족하다. 현재 인공 와우는 1만5000개의 유모세포(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귓속 세포)를 겨우 20여 개의 전극으로 대신한다. 정상 청력보다 정밀도가 훨씬 떨어질 수밖에 없다.인체에 친화적인 소재를 찾는 것도 큰 과제다. 허 연구원은 “새로 만든 인공기저막에 적용한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전기를 공급해 ‘세계 최초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World’s First Wearable MFC)’라는 신호를 컴퓨터에 2분간 띄우는 데 성공했다. 이에로풀로스 교수는 “전세계적으로 굉장히 많은 그룹이 다양한 미생물연료전지를 연구하고 있다”며 “그러나 입을 수 있는 유연한 미생물연료 전지는 우리가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니라 그 과정에서 개발하게 될 세부 기술들, 그러니까 인체 친화적 전극 재료, 생체신호 처리 기술 등이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분명 기여할 겁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저주파인 인프라사운드는 고주파 음파에 비해 에너지 감쇄가 적어 먼 거리에서도 신호가 잘 잡힌다. 예컨대, 1000Hz 음파는 7km를 전파했을 때 에너지의 90%가 대기에 흡수되지만, 0.01Hz 음파는 지구를 한 바퀴 돌 수 있다. 1963년 부분적핵실험금지조약이 발효되면서 연구가 거의 중단됐는데, 30여 년이 ... ...
- [과학뉴스] 후천적 비만의 원인, 단초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체내 신호전달물질로 알려진 ‘S6K1’이 유전자 발현 과정을 변화시켜 비만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6K1의 후성유전학적인 역할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한정환 성균관대 약학과 교수팀은 S6K1이 결핍된 쥐가 일반 쥐보다 지방조직이 절반가량 적다는 데 착안해 S6K1의 새로운 역할을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나노크래프트는 20년 안에 주파할 수 있다. 비행하는 동안 촬영한 사진 등의 정보는 광신호로 변환해 지구로 전송한다.이번 프로젝트에는 밀너가 1억 달러(약 1150억 원)를 투자하는 등 총 100억 달러(약 11조5000억)의 돈이 투입될 예정이다. 밀너는 “우주를 향한 위대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고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즉, 사람의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쓰고자 한다면 대장균의 생체 시스템이 좀 더 정확하게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CGC를 CGT로 변환하는 최적화 작업이 필요하다.이런 이유로 아직 첼로를 모든 종에 적용하지는 못한다. 연구팀은 “첼로는 현재 대장균에 최적화돼 있는 언어”라며 “각종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혈중 코티솔 농도가 높아지면 시상하부(H)와 뇌하수체(P)에 코티솔 분비를 억제하라는 신호가 차례로 전달된다. 그 결과 코티솔을 분비하도록 부신(A)을 자극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이 줄어들어 코티솔 농도를 낮춘다.연구팀은 자녀를 살해하고 치료감호소에 수용된 여성 10명과, 폭력 등 다른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바꾼 뒤, 망막에 이식한 전극판이 망막세포를 자극하면 뇌에서 이 신호를 받아 사물을 볼 수 있는 원리예요. 지난해 7월, 노인성 눈 질환을 앓던 영국의 80세 남성의 시력을 회복시키며 더욱 유명해졌지요. 아르구스2를 이식받은 남성은 이제 사람의 윤곽과 사물의 형체를 파악할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보턴 연구원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사고를 당한 뒤에도 뇌가 신호를 정확히 발생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면서 “컴퓨터라는 우회로를 통해 마비된 부위를 움직일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4월 13일 ‘네이처’에 실렸다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