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IKMC)을 구성해 유전자변형쥐를 개발하고 있죠. 국제 공동프로젝트를 진행해 연구
성과
를 공유하고 최대한 빨리 유전자 기능을 해석해 더 많은 특허을 가지려고 하는 거예요. 이렇게 마우스 병원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어요.한국이요? 한국은 아직 국제 컨소시엄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어요.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눌려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았지만, 크릭 역시 물리학과 생물학 양쪽에서 놀라운
성과
를 낸 대기만성형 천재 과학자였다. 왓슨이 ‘이중나선’에서 묘사한 것처럼 열정적이며 외향적이고 감성적이기까지 한 크릭의 면모는 ‘과학자는 외골수다’라는 고정관념을 날려버린다.전기는 아니지만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황당맨이 만난 정상권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한 초전도모터를 개발하는
성과
를 올렸다. 정 교수가 개발한초전도모터는 세계 최초로 극저온 냉동기를 탑재해 모터의 크기가 작다. 기존의 초전도모터는 극저온 냉동기와 회전하는 부분이 분리된채로 모터가 작동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 ...
한국적 캐릭터로 세계의 신화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카트라이더의 열풍에 휩싸여 당시 많은 게임 개발사가 레이싱 게임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성과
를 거둔 업체는 미미했다. 필자가 내놓은 게임 역시 성적이 신통치 않았다. 필자가 시장을 내다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2005년 시장이 가장 뜨거울 때 게임 개발을 시작했지만 정작 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물질로 만들어진 흡착제 자체를 버려야 해서 부담이었다. 아직까지 상업 운영을 할 만큼
성과
를 내지도 못하고 있다.일본 못지않게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도 리튬의 중요성에 일찍 눈을 떴다. 2000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정강섭 박사팀(연구단장)이 바닷속 리튬을 빨아들이는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온라인판에 실렸을 때도 의문을 제기하는 과학자들이 줄을 이었다. NASA가 연구
성과
를 과장했다는 비판도 많았다. 사이언스도 이를 의식해서인지 온라인판 게재 이후 6개월이 지난 6월 3일자에 정식논문을 실었다. 이렇게 시간이 걸린 것은 이례적이다. 특이하게도 비소 박테리아 논문의 문제점을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회전이 시간이 지날수록 ‘지수적으로 감소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확인한 것은 큰
성과
다. 우주가 팽창할수록 느리게 회전한다는 뜻으로, 상식과도 잘 맞는다. 작은 팽이를 돌릴 때보다 큰 팽이를 돌릴 때 회전 속도가 느린 것과 같은 원리다.끈 이론을 이용하면 팽창뿐만 아니라 비틀림 현상도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경 처음 발사될 것으로 보여 몇 년 정도는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물론 우주 선진국들의
성과
에 비하면 아직 부족하다. 한국형발사체 3단 로켓의 최대 추력은 5~10t 정도. 로켓 자체의 무게, 연료를 빼면 달을 향해 ‘집어 던질 수 있는’ 물건의 최대 무게는 550kg 정도다. 구소련은 이미 40년 전인 197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외골격 로봇의 수준은 어떨까. 아직 일본과 미국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짧은 시간 안에 큰
성과
를 거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생기원 민군실용로봇사업단은 군사용, 민간용으로 두루 쓸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하이퍼도 미국의 로봇처럼 ‘군용’ 성격이 강하다. 일본의 로봇처럼 ... ...
레이저계의 블루오션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자율적인 연구를 존중하되, 매주 세미나를 통해 서로의 연구
성과
를 확인하고 보완할 사항이나 더 좋은 아이디어를 교환하며 브레인 스토밍한다. 성공적인 대학원 생활에서 개인의 연구 자질과 노력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구성원 사이의 팀워크다. 우리 연구실은 열정적인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