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장
부조
폐
옥신각신
불쾌
번거로움
성가심
d라이브러리
"
불편
"(으)로 총 1,472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어휘 기억장치의 문을 여는 열쇠로 작동하는 것이다.이처럼 손가락은 단지 없으면
불편
한 도구가 아닌, 인류에게 그들만의 특성을 부여해준 아주 특별한 기관이다. 손을 제2의 뇌라고 부르는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우리는 벙어리장갑을 낀 젊은 여성과 어린 아이들을 보면 귀엽고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여행객들이 굳이 허브를 통해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면서까지
불편
을 감수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국 보잉은 허브를 연결하는 초대형 여객기보다는 도시를 연결하는 중형 여객기를 차기 모델로 점찍고 B7E7을 선보였다.에어버스와 보잉의 팽팽한 접전의 승자는 누가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때마다 해당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일일이 지시를 내려야 하는 로봇은 결국 인간에게 더
불편
한 존재일 뿐이다. 이런 로봇은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따라서 인간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을 내리면서 진화하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로봇이 반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위험부담을 안은 채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거장’ 들은 슈바르츠실트와 찬드라세카 등 신진 학자들의 블랙홀 이론에 심기가
불편
했다. 자신들의 생각으로는 블랙홀의 존재를 인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아인슈타인은 블랙홀이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직접 나섰다. 슈바르츠실트가 블랙홀의 이론적 존재 가능성을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단점이 있다.육안 시청이 궁극적 목표이처럼 안경을 쓰고 영상을 본다는 것은 아무래도
불편
함이 없지 않다. 그 때문에 입체TV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실제 물체가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데 있다. 평소 우리가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처럼 시선이 바뀔 때마다 물체에 가려진 부분까지 볼 수 있게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때는 마치 곳곳에서 기계가 튀어나오는 만화 주인공 가제트의 옷처럼 보였다. 착용에
불편
이 없으려면 옷에 부착하는 센서를 전도성을 갖게 하면서 얼마나 작고 유연하게 만들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또 옷과 사람, 옷과 외부 간 정보가 전달되는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돼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활용해 얻게 되는 편리함보다, 생체신호를 얻는 과정에서 감수해야 하는 부담감과
불편
함 때문에 사용을 거부하거나 포기할 것이다. 따라서 가능한 별도의 장치를 몸에 부착하거나 휴대하지 않게 하면서 사용자가 거의 모르는 사이에, 측정에는 신경쓰지 않고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자기신호에 비해 매우 약하다. 때문에 자기잡음을 차단한 차폐실 안에서 측정해야 하는
불편
함이 있다.또 자기장은 발생한 지점과 그 주위에 걸쳐 분포하기 때문에 가급적 넓은 부위를 짧은 시간 내에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수십-수백개의 자기센서를 촘촘히 배열한 다채널 센서가 세계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람들이 몸에 이물질을 부착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최대한
불편
을 적게 느끼면서 신체에 필요한 이물질을 삽입, 제거,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또 지금까지 개발된 인공망막이나 인공달팽이관은 대뇌피질로 통하는 시신경이나 청신경이 손상되지 않아야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니홈피를 누가 방문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루에도 수십번 들락거려야 했다. 이런
불편
은 메신저와 통합되면서 사라진다. 미니홈피의 변화가 메신저를 통해 통보되기 때문이다. 또 메신저에서는 서로 간의 안부를 일일이 말로만 물어야 했다. 그냥 어떻게 지내는지를 슬쩍 알기가 힘들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