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림환경연구소 나무를 위한 맞춤병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나무도 병에 걸린다는 말은 처음 들어요.나무도 생물인 만큼 병에 걸릴 수 있어요.
바이러스
나 박테리아에 감염될 수도 있고, 해충 때문에 병에 걸릴 수 있지요. 특히 외국에서 들어온 해충은 천적이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 나무에 큰 피해를 입힌답니다. ‘소나무의 에이즈’라고도 불리는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스턱스넷(Stuxnet)’이라는 윈도우 웜으로 1000여 대의 원심분리기가 고장이 났다. 기존
바이러스
처럼 일반 PC를 대상으로 한 공격이 아니라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한 공격이었다. 이에 미국은 정부 기간시설에 대한 외국의 해킹 공격을 ‘전쟁행위’로 간주하고 무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사이버 ... ...
감기 예방약 개발, 청신호 켜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맞게 설계됐지만 조류독감
바이러스
에도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하나로 여러 유형의
바이러스
를 동시에 막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두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려면 단백질의 구조는 물론 전하와 화학적 성질까지도 생각해야 한다. 프레시맨 교수팀은 이 복잡한 과정을 모두 컴퓨터 설계로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또 배아줄기세포의 특성을 갖게 하는 유전자를
바이러스
에 실어 세포에 넣어주기 때문에
바이러스
로 인한 위험성도 잠재돼 있다. 지난 2009년 미국 하버드대 김광수 교수팀이 유전자 대신 단백질을 직접 넣어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했지만 아직은 효율이 너무 낮다. 아무튼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자랑을 스스로 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만은 꽤 기분 좋은 듯 했다. 국내에서는 한탄
바이러스
를 발견한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와 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장에 이어 세 번째인데다가 물리학자로서는 처음이다. NAS에는 노벨과학상 수상자만 200여 명이다. 말 그대로 최고의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노화와 발암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 최대 수명을 누리는 셈이다.1979년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에 반응하는 여러 단백질 가운데 하나로 존재를 드러냈던 p53은 1989년 암 억제인자라는 실체가 밝혀진 뒤 생명과학에서 가장 유명한 분자가 됐다. 앞으로 p53 연구가 인류의 암 정복 여정에서 어떤 역할을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취약하다. 유전적 다양성도 떨어지고, 체내 저항력도 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원균과
바이러스
를 옮기는 사람과의 접촉이 그리 반갑지 않다.이번 겨울 구제역으로 총 350만 마리의 소와 돼지가, AI로 닭과 오리 623만 마리가 살처분되거나 매몰됐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사상 최대의 피해를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분해되는 물질로 ‘연결기’를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분자수송체에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HIV)의치료약인 ‘AZT’를 결합시켜 쥐에 투여한 결과 혈뇌장벽을 통과해 뇌조직에 약을 전달했던 것이다.지난 2월에는 분자수송체에 항암제를 결합해 뇌종양을 치료하는 연구 결과를 영국 화학회가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건너가 광저우 지역의 에어로졸의 화학 조성과 특성을 연구했다. 김 교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가 황사에 묻어 올 수 있다는 말이 있듯이 대기 관측 연구는 대기·물리·화학뿐만 아니라 생물을 전공한 학생도 필요로 한다”며 “탄탄한 기초 과학 실력을 갖춘 학생이라면 전공에 상관없이 도전하길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왔어. 하지만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이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헤르페스
바이러스
가 면역력을 높여 주는 공생 관계라는 사실이 밝혀졌단다.환경이 변해서 관계가 변하기도 해. 장 속에 사는 박테리아는 소화를 도와 더 많은 에너지를 얻게 해 주는 공생 친구야 . 하지만 지나친 에너지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