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지
마음바탕
d라이브러리
"
마음자리
"(으)로 총 1,226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소리는 제2의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을 끌었던 ‘김대업 테이프 성문분석’사건이 판독 불능이라는 결론으로 매듭지어졌다. 사람의 목소리는 어떻게 나오고 개인의 특징은 어떻게 나타날까.또 어떤 과정을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일까. 성문분석의 원리부터 한계와 문제점까지 짚어보자.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농촌에서 태어난 황우석 교수에게 소는 다른 어떤 동물보다 가까운 존재였다.황 교수는 농민이었던 부모를 도와 어렸을 때부터 소를 돌봤다. 소를 벗삼았다는 말이 더 맞을 것이다. 이때부터 그는 소에 대해 남다른 애정을 품기 시작했다. 소에 대한 사랑은 철이 들면서 경외심으로까지 커졌다. 그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애국가 첫머리를 장식하는 동해. 여름철 최고의 피서지로 꼽히는 동해. 최근 이곳에 외국인 해양학자들이 상당한 예산을 들여가며 찾아온다. 왜일까.‘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지난 6월 2002 월드컵의 열기 속 ‘대∼한민국’의 구호가 메아리 치는 가운데 우리나라 경기 때마다 전세계 ... ...
8월 한여름밤 별똥별 쇼 감상법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여름은 별똥별의 계절이다. 야외로 캠핑을 나가 밤하늘을올려다보고 있으면 바닷가 모래밭처럼 펼쳐진 은하수를 가끔씩 가로지르는별똥별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특히 8월에는 페르세우스자리 근처에서비처럼 쏟아지는 장관을 만날 수 있다.별똥별(유성)이 비처럼 떨어진다는 유성우. 유성우라고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여름철 최고의 레포츠로 자리 잡아가는 래프팅. 골짜기 사이로 펼쳐진 자연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자연이 만든 레포츠 래프팅에서 과학의 모습을 발견해보자.땟목타기에서 유래한 래프팅래프트란 원래 나무로 엮은 뗏목을 뜻하는 말이다. 아득한 옛날 원시인들이 타고 다녔던 뗏목으로까지 거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2002 한일월드컵에서 거리로 몰려나온 수많은 인파들은 대형 전광판을 통해 우리 선수들의 활약을 지켜봤다. 총천연색을 자랑하는 대형전광판은 많은 사람들을 감동과 흥분에 젖어들게 하기에 충분한 요소였다. 대형전광판이 만들어지는 과학적 원리는 무엇일까. 2002 한일월드컵에서 수많은 인파 ... ...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흔히 종교와 과학의 관계는‘갈등’이나‘전쟁’같은 부정적 단어로 묘사된다. 하지만 종교와 과학은 정말 싸움을 통해 진화해 왔을까. 서양과학이 지나온 역사를 통해 종교과 과학의 진정한 관계는 어떠했는지 살펴보자.1869년 12월 17일 뉴욕의 쿠퍼 유니언 대학강당에 모인 사람들은, 남북전쟁의 ... ...
명품의 명성, 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경제 수준이 향상되면서 고가인 외국 브랜드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런 상품을 가리켜 흔히 명품이라 부른다. 명품은 보통 상품과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명품이 현재의 위치를 차지하기까지의 이야기를 들어보자.명품이 유행이다. 명품만 고집하는 사람이 생겨나면서 이들을 가리키는 말 ... ...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최근 개봉된 영화‘뷰티풀 마인드’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존 내쉬의 정신분열증 극복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린다. 그리고 몇해전 개봉됐던 영화‘굿 윌 헌팅’은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천재의 정신 치유 과정을 통해 인생의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가를 묻고 있다.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지방의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최근 생명공학의 발전은 단백질 구조를 좀더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실험실이 아닌 컴퓨터 화면 위에서 새로운 약물을 디자인할 수 있다. 질환단백질의 정보를 가상공간에서 마음대로 주물러 질병 정복에 앞장서고 있는 최첨단 약물발굴 현장으로 가보자.지난 2000년 미국 화학회는 그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