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최대의 석유 수출국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사암이 많은 지형 덕분이라고 해요. 석유는
땅
속에 묻힌 생물의 사체가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져요. 이후 지층 사이를 흐르며 이동하다가 빈 공간인 ‘저류암’에 모이지요. 따라서 저류암은 석유가 스미기 쉬운 사암과 석유가 빠져나가지 못할 만큼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채집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미수정된 여왕개미가 결혼비행을 통해 수정한 뒤
땅
위에 안착하면, 그 곳에서 새로운 군체가 번식한다. 그런데 소위 ‘싹쓸이’식 채집으로 한 군체, 즉 여왕개미 한 마리가 사라지면 향후 100군체가 사라지는 꼴이 된다. 동 씨는 “실제로 사람 손을 탄 곳과 안 탄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거대한 물류창고에 로봇을 투입하고 있지만, 이런 로봇들은 바닥에 붙은 QR코드나
땅
속에 묻어 놓은 자석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돼 있어 진정한 의미의 자율주행로봇으로 보기 어렵다. 철도연은 물체의 종류를 인식해서 로봇손으로 옮겨 실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발하고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광물’이라는 별칭도 있다. 광물은 대개 화산활동이나 물에 의한 퇴적 또는
땅
속의 열과 압력으로 변성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방해석도 기본적으로 물속에서 입자가 퇴적돼 만들어지지만, 특이하게 생명체가 만드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조개류는 물속에 녹아 있는 물질을 이용해서 단단한 ...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산불이 다시 번지기 시작했어요. 완전히 진화됐다고 발표한지 3시간 만이었죠. 강풍 탓에
땅
속에 숨어있던 불씨가 되살아나면서 컴컴한 밤에 산불은 다시 활활 타오르기 시작했답니다. 집으로 돌아갔던 주민들도 다시 대피소에서 뜬눈으로 밤을 지새워야 했어요.8일 11:48 꺼지지 않는 삼척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1996년 고성 산불이 난 직후부터 개미의 변화를 살펴봤어요. 산불이 났을 때 개미들은
땅
속 깊은 곳에서 활동 중이라 피해를 많이 입지 않았어요. 하지만 이내 개미들도 그곳을 떠나야 했어요. 개미집은 안전했지만, 먹이 활동이 이뤄지는 개미집 밖은 황폐화 됐거든요. 이 때문에 개미들은 그곳에서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개미새끼 한 마리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빈틈없이 만들었다. 가족들은 울음과 함께 관을
땅
에 묻었다. 370년이 훌쩍 넘은 최근, 한국 과학자들은 김씨와 정 씨 부인이 어떤 병을 앓았는지 밝혀냈다. 그리고 지금껏 학계에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사실도 최초로 밝혔다. 김 씨와 정 씨 부인이 장기가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목을 두 번 찔렀다.일그러졌던 공간이 다시 원래대로 회복되었다. 멀린은 천천히
땅
으로 내려왔다.‘죽은 거야?’ 메데이아가 텔레파시로 물었다.‘죽어가고 있어.’내가 텔레파시로 대답했다. 프로스페로는 오른손으로 목을 쥐고 있었는데 숨을 내쉴 때마다 손가락 사이로 피가 엄청나게 ... ...
[과학뉴스] 큰곰은 발로 말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년 간 스페인 칸타브리아 산맥에서 큰곰의 행동을 직접 관찰했어요. 그 결과 큰곰은 발을
땅
에 대고 비틀면서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다른 큰곰들은 이렇게 남겨진 발자국 주위를 어슬렁거리거나 발자국을 따라가기도 했지요.연구팀은 “특히 짝짓기 시기에 수컷 큰곰이 암컷보다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때 다리의 일부분을 딱딱하게 만들어 지탱하도록 하거나, 설사 넘어지더라도 몸이
땅
에 닿는 부위를 딱딱하게 만들어 다치지 않게 하는 것이지요. 그러려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하는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야 해요. 여기에는 기하학적 아이디어가 중요합니다. 어떤 기하학적 구조로 만들어야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