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소외됐던 거대얼음행성으로 우리의 탐사 영역을 확장할 차례다. 천왕성 탐사는 태양계 내의 거대얼음행성뿐 아니라, 태양계 밖 더 넓은 우주를 이해하는 데 도움될 것이다.이번 ‘행성과학 10년 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2031년에서 2032년 무렵에 탐사선을 발사할 경우 목성 중력의 도움을 받아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것에 이제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말하는 이들도 있겠지만, 새로운 지성체를 만들어내고, 우주 저 멀리까지 자신의 후손들을 떠나보낼 수 있는 생물이란, 아마 우주의 역사를 통틀어도 흔치 않을 것이다.나는 은하에게, 정확히는 은하의 기억에게, 그 끝의 끝을 보여주고 싶었다. 죽음과 멸망으로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수콤달콤 연구소는 어떤 곳? 어린이 연구원들이 ‘쓴맛’으로 꼽은 초등수학 내용을 달콤하게 바꿔 드려요. 이번 주제는 ‘비와 비율’이에요. 곱셈 ... 속 장미의 ‘비율’은?Part2. [수콤달콤 연구소] 수콤달콤 화원Part3.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내가 만드는 그래프! 우리집 도서 현황은 ... ...
- [가상인터뷰] 비장이 크면 사회적 계급이 더 높은 벌거숭이두더지쥐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벌거숭이두더지쥐(Heterocephalus glaber)는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이남에 서식하는 두더지과 동물이다. 최근 이 벌거숭이두더지쥐의 건강이 계급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 크기가 사회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계급이 높은 개체의 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 ...
- 꿀벌을 구해라, 도시양봉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다릅니다. 수벌과 여왕벌은 자손 생산을 담당하죠. 일벌은 태어나고 처음 20일간은 벌통 내부에서 청소, 육아를 담당하고, 이후에는 벌통 바깥으로 나가 꽃과 물을 가져옵니다. 나이가 들어 날개가 망가지면 벌통 앞에서 경비를 섭니다. 이후에는 벌통에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바깥으로 나가 생을 ...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잘리면 우리도 같이 나올 거예요. 그래서 이 세상 모든 작자 미상 그림들의 출처를 찾아내는 거죠. 우리가 이름이 없지, 기술이 없어요?”나는 힘 빠진 미소를 짓다가 박물관 기둥을 쳐다봤다. 그리고 돌을 옮기는 사람들의 모습을 머릿속에 천천히 그려갔다. 박문영 제1회 큐빅노트 단편소설 ... ...
- [2022 필즈상 예측] 필즈상 수상으로 2인자에서 1인자 될까? 기호 7번. 바르가브 바트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돌려요. 수학계의 소문난 잉꼬부부죠. 2021년 브레이크스루상을 타면서 바트 교수는 “내 직업 생활을 이해하고 발전시켜 주는 배우자가 있다는 것은 놀라운 선물”이라고 말했어요. 애정 가득한 그의 수상 소감을 이번 필즈상 시상식에서도 들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 ...
- [인터뷰] 휠체어가 꽃가마가 된 사연은? 유튜버 구르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알게 되는 것 같아요.영상에는 장애인이 생활하며 느끼는 불편함을 자연스럽게 담아내려 해요. 공연을 보기도 쉽지 않고, 학교에서 음악 수업을 듣기도 쉽지 않아요. 맥도날드에서 햄버거를 사 먹는 평범한 브이로그를 찍어도, 제가 하면 키오스크의 화면 높낮이를 휠체어에 탄 사람의 시선에 맞게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1화. 마누팩토 행성의 프로보, 프로보, 또 프로보 ...?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로봇들은 잠시 멈칫하더니 다시 알 수 없는 말을 하기 시작했습니다.“여긴 어디지? 내 다리가 왜 멀쩡하지? 아직 안 고쳤는데?”수십 대의 로봇이 이번에는 또 다른 존재가 된 것처럼 한목소리로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딱지는 온몸에 소름이 돋고, 등에 식은땀이 흘렀습니다.‘이게 무슨 일이야? ... ...
- [화보] 꽃과 동물로 가득찬 신세계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순간 그리고 사람에게 들은 말부터 생각한 말까지. 또한, 당신이 상상하는 것을 세상에 내놓으려면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 기술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한국 독자 모두 배움의 열정을 키우며 계속 성장하는 창의적인 사람이 되길 바란다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