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수백km 떨어진 북극해 중앙부에 연구자들이 직접 가기는 어렵다.반면 인공위성은
공간
제약이 없다. 우리 연구팀은 시계열 영상 분석으로 폴라스턴호 주변 반경 40km 범위에서 해빙 변화를 분석했다. 약 3개월 동안 동일한 해빙 조각을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뒤 각 영상에서 2500개 지점을 추적해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액체는 그렇지 않은 이유는 입자 배열이 다르기 때문이다. 고체를 이루는 입자들의 배열
공간
적으로 반복된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어 꽁꽁 언 얼음의 물 분자(H2O)는 어느 각도에서 봐도 육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를 결정(crystal)이라고 한다. 입자들이 이런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고 있으면 자유로이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이 기술을 이용해 2003년 완성된 인간 표준 게놈 지도의 상당 부분은 사실상 빈
공간
으로 남아있는 상태였다.2000년대 초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는 1세대보다 수천 배 빠른 2세대 DNA 해독 기술인 ‘차세대 염기서열시퀀싱(NGS·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개발했다. 하지만 반복서열의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동안 여러 사람이 멀티백에게 엔트로피를 역전시킬 방법이 있는지 묻습니다. 멀티백은
공간
을 초월해 모든 인류와 이어질 수 있는 존재가 됐지만, 매번 “자료 부족으로 대답이 불가능함”이라는 답변만 내놓습니다. 상상만 하던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맙니다. 우주 전체에 퍼져 살던 인류는 별의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때마다 달라질 수 있는 충격량과 마찰력 등의 물리적 수치를 무작위로 입력해 가상
공간
의 라이카고의 움직임을 바꿔 보았지. 앞으로의 계획은 뭐야?연구팀이 만든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아직 일일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보다 안정적이진 않아. 그래서 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라이카고가 빨리 ... ...
[꽃가루의 변신 2] 캡슐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안쪽에 있던 유전 물질과 단백질이 바깥으로 나와 안쪽이 비게 돼. 꽃가루 안쪽 빈
공간
에 있는 꽃가루의 유전 물질이나 내부 단백질 등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해서 마이크로캡슐로 활용하기 위해선 없애야 한단다. 또 꽃가루 안쪽에 약물을 넣기 위해 안을 비워내야 하기도 하고 ... ...
퍼즐 마스터 만들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월드에 빠지게 하는 마법 원근법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됐죠. 또 가까운 배경과 먼 배경으로 나눠 표현해 화면의
공간
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관심 있는 게임에서 원근법을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세요! 그 내용을 폴리매스 홈페이지 게임 디자인 씽킹 게시판에 올리면 추첨을 통해 선물을 드립니다. 지금 바로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기에 처한 펭귄 규모를 파악하고 대체 서식지를 찾을 수 있다. 인공위성은 시간과
공간
의 제약 없이 남극 전역을 관측할 수 있는 데다, 현장 조사의 복병인 펭귄 배설물 냄새로부터도 자유롭다. 우스갯소리지만, 현장 연구 중 펭귄 서식지에서 넘어지기라도 하면 곧바로 ‘민폐 연구자’가 된다.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추천하지 않는다!). 꿀벌의 집은 구조도 독특하다. 꿀벌의 집은 역학적으로 안정적이고,
공간
효율도 높은 육각형 셀을 빈틈없이 붙여놓은 구조다. 엄밀히 말하면 이 셀은 육각기둥 형태인데, 육각기둥이 살짝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어 저장한 꿀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는다. 꿀벌이 어떻게 이런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