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정비작업을 하면서 어렵게 문제를 해결했다. 인공위성과 나로호 2단을 조립하는
공간
은 단위부피(ft³)당 먼지 수가 500개 이하로 청정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청정도 유지시설은 나로호 이전에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익숙한 부분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나로우주센터 위성조립동의 먼지 수가 600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의 중요성, 100번 강조하는 대신 책 1권 추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뛰어넘는 7인과 교감하며 나눈 아홉 번의 세미나를 생생하게 옮긴 책입니다. “10차원
공간
은 무슨 뜻인가요? 좌표축이 열 개나 된다는 의미인가요?” 같이 우리가 궁금해할 질문에 대한 김민형 교수님의 답변을 천천히 이해하며 왜 수학이 다시 필요한지 공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중요한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때 한 칸(픽셀)의 길이가 수~수십km라는 뜻이다.반면 아리랑 5호로 제작하는 해빙 지도는
공간
해상도가 수십m 수준으로 매우 정밀하다. 다만 지금은 아리랑 5호를 활용한 해빙 지도 제작을 막 시작한 단계여서 아라온호에 정기적으로 제작해 배포하지는 않고 있다. 앞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추천하지 않는다!). 꿀벌의 집은 구조도 독특하다. 꿀벌의 집은 역학적으로 안정적이고,
공간
효율도 높은 육각형 셀을 빈틈없이 붙여놓은 구조다. 엄밀히 말하면 이 셀은 육각기둥 형태인데, 육각기둥이 살짝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어 저장한 꿀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는다. 꿀벌이 어떻게 이런 ... ...
퍼즐 마스터 만들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월드에 빠지게 하는 마법 원근법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됐죠. 또 가까운 배경과 먼 배경으로 나눠 표현해 화면의
공간
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관심 있는 게임에서 원근법을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세요! 그 내용을 폴리매스 홈페이지 게임 디자인 씽킹 게시판에 올리면 추첨을 통해 선물을 드립니다. 지금 바로 ... ...
[꽃가루의 변신 2] 캡슐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안쪽에 있던 유전 물질과 단백질이 바깥으로 나와 안쪽이 비게 돼. 꽃가루 안쪽 빈
공간
에 있는 꽃가루의 유전 물질이나 내부 단백질 등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해서 마이크로캡슐로 활용하기 위해선 없애야 한단다. 또 꽃가루 안쪽에 약물을 넣기 위해 안을 비워내야 하기도 하고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트랜스여성도 환자로 고려한다고 발표했답니다. A 공기가 없는 우주 바깥
공간
에 인류가 드론을 날려본 적은 없어요. 물이 있어야 배가 노를 저어 앞으로 나갈 수 있듯, 드론도 공기가 있어야 날개를 돌려 움직일 수 있거든요.다만 국제우주정거장(ISS) 내부에는 드론이 날아오른 적이 있어요. 201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수백km 떨어진 북극해 중앙부에 연구자들이 직접 가기는 어렵다.반면 인공위성은
공간
제약이 없다. 우리 연구팀은 시계열 영상 분석으로 폴라스턴호 주변 반경 40km 범위에서 해빙 변화를 분석했다. 약 3개월 동안 동일한 해빙 조각을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뒤 각 영상에서 2500개 지점을 추적해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동안 여러 사람이 멀티백에게 엔트로피를 역전시킬 방법이 있는지 묻습니다. 멀티백은
공간
을 초월해 모든 인류와 이어질 수 있는 존재가 됐지만, 매번 “자료 부족으로 대답이 불가능함”이라는 답변만 내놓습니다. 상상만 하던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맙니다. 우주 전체에 퍼져 살던 인류는 별의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