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탐색하며 유럽의 연구자가 주축인 ‘플래닛’(Planet) 그룹과 함께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
한 행성탐사에 앞장서 왔다.마이크로펀 그룹은 2001년부터 5년 동안 외계행성 2개를 새로 발견했다. 맨 처음 발견한 행성(OGLE-2005-BLG-071Lb)은 지구로부터 2만광년 떨어진 곳에 있고 질량이 목성의 두 배 정도 된다. 두 ... ...
PC자리 넘보는 3세대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이동통신 기술은 획기적으로 빨라진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휴대전화를
이용
해서 유선 인터넷과 똑같이 인터넷 서핑을 하고 상대방과 영상통화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 MP3 플레이어, 휴대용 방송 서비스인 DMB 기능도 추가되고 있어 이들을 모두 갖춘 3G 휴대전화가 속속 등장할 ... ...
'진동 스트레스'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잦은 회사원 김모씨는 얼마 전부터 저가항공사를
이용
하고 있다. 기존 항공사에 비해 요금이 저렴한데다가 안전성도 문제없다는 언론 보도에 믿음이 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가항공사의 비행기를 자주 타면서 비행 중 느껴지는 진동이 불편하게 느껴지기 시작했다.우리나라 사람은 진동에 더 ... ...
전자레인지, 파이크로파의 손맛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않고 그 근처 넓은 영역에 나타난다. 전자레인지는 왜 하필 1GHz 진동수의 마이크로파를
이용
할까.그 이유는 전자레인지의 크기와 관계가 있다. 전자레인지 내부는 전자기파를 반사하는 금속판으로 둘러싸여 있다. 전자레인지 내부에 만들어진 마이크로파는 금속표면에서 반사된 파와‘간섭현상’을 ... ...
마우스 조작을 눈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기술을 연구해왔다. 위고그래드 교수팀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
해 눈의 깜박임 같은 생리적 현상을 극복했다. 연구팀의 쿠마 연구원은 “이 기술을 체험한 20명 가운데 90%가 마우스보다 아이포인트를 더 선호했다”며 제품 상용화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 ...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방지됐다고 생각했다 시카고대 대학원생 밀러가 유레이 교수의 지도로 환원성대기를
이용
한 실험장치를 개발했다몬순이란 말은 원래 아라비아어로 계절을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해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겨울 반년에 부는 북동풍을 몬순이라 불렀다 요즘에는 ... ...
실험실 미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쉽지 않다. 현재로서는 두 다이아몬드가 성장할 때 생긴 미세한 무늬가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
한 방법이 유일하다. 실험실 다이아몬드가 천연 다이아몬드보다 깨끗하다는 장점이 실험실 다이아몬드를 구별하는 단서다.다이아몬드 전쟁의 승자는?세계에서 가장큰다이아몬드 ... ...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계수를 바꾸면 된다.물이나 대기 같은 유체를 재현할 때도 역시 미분방정식을
이용
한다.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은 1840년경 프랑스의 물리학자 루이스 나비에와 영국의 수학자 조지 스토크스 두 사람이 유도한 것이다. 이 방정식은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총체적으로 나타낸다 ... ...
PART3 수학의 봄날 올까?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다루는 대신 특별한 집합을 수처럼 다루고 그것을 이상수라고 불렀다. 그는 이 개념을
이용
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지수가 100인 경우까지 해결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7 대한민국 수학 부활 프로젝트 PART1 당신의 '수학 혈액형'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암호를 부탁해 통계로 ... ...
손바닥만한 슈퍼컴퓨터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반도체를 만들었어요. 지금 반도체는 오래 사용하면 열이 많이 나는데 유기물질을
이용
하면 열도 적게 나고 전기도 덜 사용하지요. 또 전기회로의 선폭을 15나노미터로 줄여 같은 크기의 칩에 정보를 더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했어요. 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로 머리카락의 10만분의 1의 크기랍니다. ... ...
이전
895
896
897
898
899
900
901
902
9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