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638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암 과학상에 허준이·강봉균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공학상은 조경현(36)
미국
뉴욕대 교수, 의학상은 이대열(54)
미국
존스홉킨스대 특훈교수, 사회봉사상은 이석로(57) 방글라데시 꼬람똘라병원장이 받았다. 호암재단은 이날 ‘2021 삼성호암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호암재단은 “국내외 저명학자와 전문가로 구성된 4 ... ...
코로나19로 숨진 우주과학자, 화성의 언덕 이름으로 영원히 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화학성분 분석 장비인 '켐캠(ChemCam)'으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네이슨 브리지스 전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APL) 연구원의 이름을 딴 '네이슨 브리지스 사구', 화성의 바위의 화학 조성을 분석하는 장치(APXS) 개발에 도움을 준 하인리히 전 독일 막스플랑크화학연구소 연구원의 이름을 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소리가 연상되는 잡음은 이명이지만 진짜 귀뚜라미 소리가 들린다면 환청이다.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연구자들은 조현병 같은 정신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동물 모델을 만들기 위해 생쥐에 환청을 유발하는 실험을 설계했다. 정신병의 핵심 증상인 환각(환청, ... ...
일론 머스크 화성행 번번이 좌절시킨 스타십 폭발 원인은 처음 사용하는 메탄이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개발 중인 화성 이주용 우주선 스타십의 프로토타입인 ‘SN11’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보카치카 발사장에서 이륙해 10km 고도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착륙하는 과정에서 폭발했다. 머스크는 5일 자신의 트위터에 “(상대적으로) 소량의 메탄(CH₄)이 새어 나와 두 번째 주 엔진에 불이 ... ...
미 연구팀 "혈액형과 코로나19는 무관해"…감염 위험 높다던 A형이 O형보다 양성률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달라진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지난해 7월 12일 ‘혈액학 회보’에 발표했다.
미국
컬럼비아대 어빙메디컬센터 연구진도 지난해 11월 13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뉴욕 지역 병원에 등록된 코로나19 환자 1만41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O형을 제외한 나머지 혈액형에서 코로나19 유병률이 ... ...
중국 과학논문수와 인용수
미국
제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등 표준분야 22개 중 11개 분야에서 가장 많은 SCI 논문을 발표했다. 나머지 11개 분야는
미국
이 최다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은 12위로 2018년 순위를 그대로 유지했다. 논문 수는 8.47% 증가했다. 반면 전 세계 논문 대비 한국 논문 비율을 뜻하는 논문 점유율은 3.45%를 유지했다. 한국의 논문 점유율은 200 ... ...
110년 신비 '핵 얼룩'의 재발견, 암세포 아킬레스건 될까
연합뉴스
l
2021.04.06
증진을 넘어서 획기적인 암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대의 셸리 버거 세포·발달 생물학 교수 연구팀은 5일(현지 시각) 국제학술지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의 수석저자를 맡은 버거 교수는 "핵 얼룩이 유전자 ... ...
경찰관 돕는 드론 뜨고 강력범 제압하는 접이식 방패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일본 등 해외 선진국에 비해 과학치안에서는 연구나 산업 모두 출발이 늦은 편이다.
미국
은 법무부 산하 국립사법연구원(NIJ)에 과학치안 관련 직속 연구소가 있고, 일본은 치안산업이 강세다. 중국은 공안부연구소를 중심으로 대테러, 마약 등 관련 기술을 적극 개발하고 있다. 최 센터장은 ... ...
밥 먹을 때 나타나는 비밀스런 불청객
팝뉴스
l
2021.04.06
제공 한
미국
인이 인터넷에 최근 공개해 화제가 된 이미지다. 식사를 하려고만 하면 불청객이 나타난다. 사진에는 그 불청객의 전체 모습이 잡히지는 않았다. 그러나 눈과 귀 모양을 보면 고양이과 동물일 가능성이 높다. 고양이는 사람이 음식 준비만 하면 건너편 의자에 와서 앉는다고 ... ...
해조류 먹은 소는 메탄 방귀 덜 뀐다
과학동아
l
2021.04.06
약 500L에 달한다.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14.5%가 목축업에서 발생한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연구팀은 소 사료에 해조류를 첨가해 메탄 배출량을 80% 이상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3월 1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371/journal.pone.0247820 ... ...
이전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