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뉴스
"
속
"(으)로 총 10,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속
미세한 오류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8.18
반도체 회로 내부에 발생한 미세한 결함을 손쉽게 검사할 수 있는 첨단 진단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김건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광분석 장비개발팀 책임연구원 팀은 차세대 반도체 칩의 내부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3차원 검사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결함이 발생한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맥아당은 맥주에 많이 들어있는 당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아르헨티나의 숲
속
에 있는 야생 효모가 유럽으로 날아가 빵효모와 결합해 잡종을 만들어내게 된 걸까. 2011년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신대륙발견으로 대서양무역이 시작되면서 사카로미세스 유바야누스가 유럽으로 건너갔을 것으로 ... ...
가장 이색적인 똥 직업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 똥 직업 2) 초석장이 신분 : 상 업무강도 : ★★ 위험성 : ★★★ 똥이나 오줌이 땅
속
에 오랜 기간 묻혀 있으면 질산칼륨과 질산나트륨으로 분해돼요. 질산과 질산나트륨이 바로 화약의 재료가 되는 질산염이에요. 그래서 초석장이는 화약의 재료인 질산염을 얻기 위해 똥이 있는 곳이라면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단장 - IBS 제공 우리가 감정을 느끼고, 행동하는 모든 일은 두뇌 활동의 결과다. 뇌
속
신경세포의 신경전달물질이 다른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국내 연구진이 신경세포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김기문 기초과학연구원(IBS) ... ...
구글·페이스북이 탐낸 비행기,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5.08.11
떠 있을 수 있다. 항우연 연구진은 앞으로 EAV-3을 한층 발전시켜 수일 이상 성층권 연
속
비행에 도전할 계획이다. 김 단장은 “제퍼가 성층권에서 장기체류할 수 있는 것은 차세대 고성능 ‘리튬황’ 배터리 제조법을 확보했기 때문”이라며 “현재 국내 연구진과 공동연구 방안을 모색하고 ... ...
남극물범 어미는 냄새로 제 아들 알아본다
2015.08.11
세계에서 무리 지어 많은 동물
속
에 섞여 살더라도 부모가 제 새끼를 알아보고 챙기는 현상을 흔히 관찰할 수 있다. 새끼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부모를 귀신 같이 알고 따라간다. 동물 가족은 어떻게 서로를 알아보는 걸까. 새끼 남극물범의 모습. - Ville Miettinen(위키피디아) 제공 독일 ... ...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간 = 백만분의 1초!
2015.08.10
상태의 얼음이 형성된다”며 “이번 연구는 실험수준에서 예측됐던 것보다 더 빠른
속
도로 얼음의 임계핵이 형성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과학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9일자에 게재됐다. 연구팀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한 얼음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발달하며 우주에 있는 여러 천체 등의 모습을 관측할 수 있게 되며 은하의 크기와
속
도 등을 기초로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가설도 나왔다. 다시 이 가설을 토대로 어느 시간에 폭발해 우주가 점점 팽창하고 있다는 빅뱅 모델이 나왔다. 원자핵물리학과 전파천문학이 발전하며 우주배경복사를 ... ...
영화 ‘굿 윌 헌팅’과 한 비운의 천재 수학도
2015.08.09
본인은 세상을 등진 채 두문불출하고 있으니 안타까운 마음뿐이다. 언젠가 A씨가 영화
속
주인공처럼 되돌아왔다는 이야기를 기사로 쓸 수 있기를 바란다. 한국 과학계에서도 맥과이어처럼, 전도유망한 젊은 청년의 미래를 아끼고 걱정해 주는 멘토가 등장해 주길 바란다. A씨 한 사람의 복귀를 ... ...
민들레 씨의 지구별 여행, 앵무새의 날개…
2015.08.06
은상 은상은 앵무새의 날개를 확대해 찍은 듯한 ‘카카라키 앵무새’에 돌아갔다. 작품
속
주인공은 배추흰나비의 날개로, 최선희 부산대 학생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했다. 은상작 ‘카카라키 앵무새’. - KBSI 제공 ▽ 동상 동상은 류아라 충남대 연구원의 ‘생명이 숨쉬는 밤의 숲’, 이현주 ... ...
이전
890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