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워크숍에서 '다중 가정을 이용한 신경망에 따른 한글 및 영문 OCR시스템' 이란 논문을 발표한 진성일 교수의 설명.먼저 스캐너가 전자빔을 이용해 각종 문서를 읽어들이면 이를 일단 그림형태(pcx나 tif 등)로 컴퓨터에 저장한다. 한글을 자음과 모음의 결합, 받침의 유무등에 따라 6개로 나누고, 다시 ...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결과를 발표했다. 1949년에는 망간산화물에 대한 자기구조를 중성자산란 실험을 통해 발표했다. 특히 그는 온도변화에 따른 반자성체의 비열, 저항, 자기감수율을 면밀히 측정했고 어떤 특정온도에서의 자기모멘트 질서 유지 현상을 최초로 밝혀냈다.속도가 느린 열중성자는 X선 실험이나 기타의 ... ...
- 금성소프트에어, 윈워드 2.0 CD-ROM으로 제작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이외에서 제작한 각종 도구들을 자사의 프로그램에 삽입한 것은 지난 4월 윈워드 1.0을 발표하면서 향후 윈워드의 개발을 중소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와 기술 연계를 통해 국내 정보산업의 발달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내용을 실천에 옮긴 것이어서 주목된다.윈워드 2.0은 단축키 ... ...
- '공룡→새'친자설 뒤엎은 '새→공룡'이론 등장과학동아 l1994년 10호
- BCF(Birds Came First)이론을 대중과학지인 '옴니'에 발표했다. 학술지가 아니고 대중지에 발표한 이유는 결정적인 화석의 증거를 확보하고 있지 못했기 때문. 하지만 이 이론은 그동안 공룡의 자손이 새라는 BADD(Birds Are Dinosaur Descendants)이론이 명쾌하게 해석하지 못했던 몇가지 모순을 해결해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과학동아 l1994년 10호
- 학문적 도움을 주었다. 그 후 1941년 기타가와(北川)가 만주측에서 백두산 식물을 조사 발표했다.그리고 해방 후에는 중국학자들의 연구가 계속돼 상당한 진전이 있다. 북한측에서도 연구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나 정확한 것은 찾아 볼 수 없다.늦은 감이 있으나 필자는 1988년 10월, 1989년 8월 초, 1990년 ... ...
- 영남대(기계·소재 분야)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유일하게 국책공대에 선정돼 기쁩니다 처음 교육부에서 4개 대학을 선정한다고 발표했을 때부터 꼭 그 대열에 끼고 말겠다는 각오로 선정평가에 임해왔지만 막상 국책공대에 뽑히고 나니 책임이 무거움을 느낍니다"김 단장은 영남대가 국책공대로 선정됨으로써 대학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 올릴 수 ... ...
- 화학- 전기, 두 금속 접촉·산화할 때 생긴다과학동아 l1994년 10호
- 관련이 없는, 생각지도 않은 완전히 새로운 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는 1791년에 발표한 '근육의 운동에 관한 전기작용에 관한 논문'에서 자신이 발견한 새로운 전기를 갈바니즘, 즉 갈바니 전기로 불렀다(그림2). 그는 위의 기본 실험에 조건을 바꾸어서 다양한 실험을 했다. 이 중에서 ... ...
- 인터네트 필수상식 25과학동아 l1994년 10호
- Yanoff로, Yanoff의 인터네트 서비스 리스트라는 이름으로 매월 1일과 15일 인터네트에 발표한다. 국내 천리안이나 하이텔에서도 찾을 수 있다. 국내 인터네트 서비스 리스트는 한림대의 전종홍씨와 과학기술원의 이호선씨가 정리한 것이 유명하다.7. TCP/IP란 무엇을 말하나TCP/IP는 인터네트를 구성하는 ... ...
- 1 한번쓴 자원, 원상회복 안된다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조지 워싱턴대학의 시험관 수정 프로그램에서의 배자복제 실험 성공 소식이 매스컴에 발표됐을 때,그는 즉각적으로 윤리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인간의 탄생을 둘러싼 실험은 필히 새로운 종류의 우생학을 낳는다"는 그의 주장이 매스컴을 통해 세계로 전달됐다. 리프킨은 미국 의회 위원회에서 ...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밤하늘 오염정도를 피부로 느끼게 한다. 따라서 올해 쌍안경 관측결과는 별의 개수만을 발표하기로 했다. 올해 관측결과를 (표1)에 정리했다. 이 결과의 특징은 지리산 성삼재와 타지역의 차이가 크며, 예상외로 공업단지인 울산이나 창원이 대도시보다는 관측조건이 좋다는 점이다. 분석팀에서 ... ...
이전8908918928938948958968978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