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817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의 생성과 소멸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블랙홀의 ‘질량’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2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과 이그나시오 마틴 나바로(Ignacio Martín-Navarro) 박사는
기존
연구에서 이미 블랙홀 질량이 측정된 거대 은하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별이 생성된 이력에 대해서는 미국 텍사스에 있는 호비 에버리 망원경(Hobby-Eberly Telescope)으로 측정한 빛의 스펙트럼을 활용했다. 마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마키아또)을 만들었다. 그리고 잠시 뒤 경계가 번진 두 층으로 분리됐다. 여기까지는
기존
유체역학 이론에 충실한 현상이다. 그런데 2분쯤 지나 혼합물(레이어드 라테)의 온도가 주위 온도인 22도에 가깝게 식으면서 프랭크하우저가 발견한 그 현상이 재현됐다. 즉 맨 위 짙은 갈색에서 아래로 ... ...
신진 과학자 지원 대폭 늘린다…과기정통부 2018 연구개발 사업 종합시행계획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8.01.01
보장받고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평가체계도 개선하기로 했다. 기초연구사업의 경우
기존
에는 신진 연구와 1억5000만 원 이하 중견 연구만 최종평가 제외 대상이었다. 올해부터는 신진 연구와 3억 원 이하 중견 연구에 대해 최종평가를 제외한다. 제외 대상을 늘린 것이다. ICT 분야 R&D도 그랜트 ... ...
거창한 자율주행 안녕! ‘작고 느린’ 교통으로 미래 도시 혁신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1
거리는 반경 1㎞ 남짓의 근거리 이동이다. 지하철 한두 정거장, 버스 두세 정거장 거리다.
기존
의 교통 체계에서는 이 거리를 담당할 수단이 마땅치 않다. 자전거가 있지만, 전세계 지자체의 자전거 장려 정책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중심의 교통 체계와는 잘 섞이지 않았다. PEV는 자동차와 자전거의 ... ...
5가지 키워드로 돌아보는 2017년 스마트폰
2017.12.31
~3년 내에 나온 스마트폰의 성능이 너무 높아지면서 신제품이 나와도 곧장 바꿔야 할만큼
기존
기기가 불편하지 않은 것이 이유가 될 것 같다. 새로운 기술은 여전히 흥미롭고, 반도체의 발달도 높이 살 만하지만 ‘사야겠다’라고 결정 지어줄 무엇인가가 부족하다는 이야기다. 기술과 현실의 ... ...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
과학동아
l
2017.12.29
그리고 약 3년 만에 인공 염기를 가진 대장균이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기존
의 아미노산은 4개의 염기 중 3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가령 글루타민은 ‘CAA’, 리신은 ‘AAA’‘AAG’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X가 들어간 AXC와 GXC 등 세 염기의 조합으로 자연계에 없던 새로운 ... ...
식약처 ‘생리대 위해 없다’ 최종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검출되지 않았으며, 검출된 50종도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라며 “
기존
의 독성연구자료가 없는 VOCs 7종은 구조활성이 유사한 물질의 자료를 기준으로 적용했을 때 인체에 유해한 수준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식약처는 국내 시장점유율이 높은 생리대와 탐폰 총 13개 ... ...
인공지능으로 MRI 영상 촬영 속도 6배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가까운 영상을 복원할 수 있어 영상 획득 시간과 비용을 줄였다. 연구팀은 이상 현상없이
기존
보다 6배 이상 빠르게 영상을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박현욱 교수는 “MRI는 환자 진단의 필수 장비가 됐지만 영상 획득 시간이 오래 걸려 비용이 비싸고 불편함이 많았다”라며 “기계학습을 활용해 MRI의 ... ...
LTE기술 민간서 이용 가능… 국내 전파사용 규칙 다시 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의료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연동 의료기기용 주파수 역시 추가로 할당한다.
기존
에는 손 떨림 제어를 위해 체내에 이식된 신경자극기를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 밖에 △고속 주행용 드론 영상 주파수 △승용차 자동주차기능 주파수 등도 추가로 할당할 계획이다. ... ...
양자통신 핵심 부품, 국내서 세계 최초로 소형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양자키분배기(양자신호 송수신기)’의 소형화에 세계 최초로 성공하고, 이를
기존
장비의 100분의 1 수준인 엄지 손가락 길이의 반도체 칩 안에 집적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무선 양자키분배기는 빛을 하나의 입자(양자) 단위로 구분한 뒤 여기에 암호화된 양자정보를 담는 무선 ... ...
이전
889
890
891
892
893
894
895
896
8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