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외곽 관측을 목표로 계획됐다.1차 목표는 태양계 외곽 왜행성인 명왕성이며 무려 10년의 여행 끝에 올해 7월 14일 도착한다. 비록 직접혜성에 착륙한 로제타처럼 극적인 사건 없이 그저 스쳐 지나가겠지만, 태양계 바깥에 있는 왜행성과 그위성을 어떤 다른 탐사선보다 가까이에서(1만3695km거리) ...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남아선호 사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성 감별 출산이 한창이던 1990년에도 첫 아이의 출생성비는 108.5로 거의 정상에 가까웠던 반면, 넷째 아이 이상은 209.5였다. 첫 임신에서 태아가 여자라고 인공유산을 하는 일은 드물었다는 얘기다. 이런 추세는 지금도 여전하다. 2013년 첫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나무에 붙은 사소한 얼룩처럼 보이는 지의류. 하지만 이들은 생태계의 일부로서 수억 년의 세월을 버텨왔다. 척박한 곳에서 언제나 가장 먼저 생명의 싹을 틔웠고, 가장 마지막까지 자리를 지켰다. 혹시 이들은 지금도 그저 묵묵히 버티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바위 위와 나무 위에서 숨죽인 채,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위성을 500kg급으로 감량해, 보다 저렴한 값으로 위성을 만든 뒤, 민간 기업에 항우연이 20년이 넘는 기간동안 축적한 노하우를 전수한다. 최준민 위성개발총괄사업단장은 “이스라엘은 첨단 기술을 수출해 국가 경제 규모를 키운다”며 “앞으로 우리나라 기업이 직접 위성을 만들 수 있도록 ... ...
- Part 1. 우롱이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제 보이지 않아요. 그나마 산에 많던 아까시 나무도 사라지기 시작했어요. 심은 지 60~70년쯤 지나서 수명이 다 했다나 봐요.우롱기자 꽃을 찾아 헤매는 꿀벌을 위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Part 1. 우롱이 생태일보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꿀벌 수가 40~45% 줄어서 문제가 되고 있어요. 우리나라 토종벌도 2010년에 약 75~80%가 사라졌답니다. 꿀벌을 죽이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퍼지고, 꿀벌이 꿀을 빠는 ‘밀원식물’이 줄어들었기 때문이지요.자생종 식물의 꽃은 꿀벌이 아주 좋아하는 밀원식물이랍니다. ... ...
- 거미 다리 보고 만든 진동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지구를 정복하고 싶구나!글쎄요, 닥터 그랜마. 나는 여러 재주가 있지만 수명이 평균 2년을 넘지 못해요. 게다가 마음이 약해서 지구 정복은 체질에 맞지 않아요. 우리 중에는 염낭거미처럼 새끼들에게 자기 몸을 먹이로 내 줄 만큼 모성애가 강한 거미도 있답니다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한 거죠. 2년에 걸친 투표 끝에 영광의 자리에 오른 건 바로 오일러 공식이었습니다. 20년이 지나 이번엔 물리학잡지 ‘물리학 세계’에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공식을 뽑아 달라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120여명의 독자가 약 50가지의 공식을 보내왔습니다. 치열한 경합 끝에 오일러 공식이 ‘맥스웰의 ... ...
- [생활] 2015 SOFT.WARE 진로 가이드로 미래를 설계하세요!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물리 이론이 필요하면 그때그때 가르쳐 주는 거죠. 미국과 영국, 일본 등에서는 몇 년 전부터 컴퓨터과학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 교육하는 학교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요.그런데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현실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에요. 이현재 다음카카오 대회협력실 차장님에 따르면 미래 산업에서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그 누구도 감히 이 불상을 손으로 만질 수 없는데, 오직 왕만이 성스런 의식을 통해 1년에 3번 부처님의 옷을 갈아입혀 줄 수 있습니다. 에메랄드 사원의 위엄과 왕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려는 듯 사원과 왕궁 주변 건물은 화려하기 그지없습니다. 황금빛으로 반짝이는 건물의 외벽들은 가지각색 ... ...
이전889890891892893894895896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