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지능로봇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등을 들 수 있다. 이밖에 미국의 카네기멜론 스탠퍼드 MIT 퍼듀
대학
및 일본의 쓰쿠바
대학
에서 이동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21세기의 로봇은 어떤 모양과 기능을 갖게 될 것인가. 요즘 같이 과학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는 시대에는 미래에 대해 예측하기가 무척 어려운데, 특히 로봇 기술의 발달은 ... ...
2030 뉴로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뉴로컴퓨터 시장은 5조엔을 상회할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연구소와
대학
에서 뉴로컴퓨터의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그 결과물로서 파리 지능수준의 신경망칩이 한국통신 연구소에서 개발됐다.앞으로 정보처리에서 속도의 문제는 슈퍼컴퓨터나 초병렬컴퓨터로 해결될 ... ...
멸종 동물 몸무게 잘못 추정된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있다는 것.핀란드 헬싱키에 있는 국립자연사박물관의 미카엘 포텔리우스와 미국 텍사스
대학
(오스틴 소재)의 존 카펠먼은 인드리코테리움의 덩치가 과거에 추정했던 것보다 휠씬 왜소(?)하다고 밝혔다. 그들은 가장 큰 인드리코테리움의 체중이 15~20t 사이였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매머드의 무게와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못한다. 이와 관련해서 중력파에 관한 세계적인 권위자인 손교수와 미국 프린스턴
대학
의 오스트라이커(J. Ostriker) 교수 사이의 재미있는 일화 한 가지를 소개한다. 손교수와 오스트라이커교수는 1981년에 2000년까지 중력파를 발견할 수 있을지에 대해 포도주 한 병을 걸고 내기를 했다. 손교수는 ... ...
25년만에 모습 드러낸 인왕산의 지형·지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치마폭 주름살 모양의 유수구가 발달한 치마바위, 풍화작용의 영향을 받은 벌집바위, 절리가 발달한 호박바위는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을까.서울지역은 노년기 및 만장년기 상태의 지형이다. 장구한 세월 동안 진행된 침식과 풍화작용의 영향을 받아 침식분지를 이루고 있다.분지 주변에는 북 ... ...
고도의 치료법을 터득한 침팬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막혔을 때 나뭇잎을 코구멍에 갖다 댄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인류진화학을 전공한 교토
대학
의 니시다 교수가 3개월 동안 탄자니아의 마하레 산 국립공원에서 침팬지 무리를 관찰하면서 얻은 결론.코막힘 해소법을 시행하고 있는 침팬지는 탕가니이카 호수 삼림 지대에 서식하고 있는 수컷으로 ... ...
20세기 최대 과학자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양자역학'으로 시작해 '분자생물학'으로 저물어간다는 사실에 공감했다. 교토
대학
이학부의 사토(佐藤文隆)교수는 "금세기 양대이론으로 상대론과 양자역학이 거론되지만 사회적인 파급효과로 본다면 양자론의 비중이 월등하다. 트랜지스터와 집적회로(IC) 그리고 컴퓨터와 신소재, 유전자의 ... ...
특허받은 동물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특허권 행사범위가 애매모호하다는 이의가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버드
대학
에서 생산한 발암생쥐(U.S. 특허 4,736,866호)의 경우 암연구를 위해서 각 연구소의 자체기술로 생산되어지는 모든 발암성 형질변환 포유동물(인간은 제외)들을 사용할 때에도 특허권 사용료를 지불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 ...
고급언어를 알아듣는 한국 최초의 컴퓨터 가동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그후 각 부처의 업무전산화를 수시로 강조해 70년대 전산화붐이 정부 국영기업
대학
민간기업 등으로 확산되는대 크게 기여했다.오늘날과 비교하면 CDC-3300보다 강력한 개인용 컴퓨터(PC)의 가격이 1천달러 정도니까 20여년 사이에 컴퓨터 값이 1천분의 1로 떨어진 셈이다. 또 당시 손꼽을 정도였던 ... ...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함께 상용구 매크로 찾기바꾸기 기능이 돋보인다. 원래 한글을 만든 사람들이
대학
생이었음을 감안한다면 한글이 찾기/바꾸기 기능 등으로 긴 글을 편집할 때 돋보이는 까닭을 짐작할 것이다.다른 워드프로세서들이 영문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현재 전체 등의 제한을 가지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 ...
이전
886
887
888
889
890
891
892
893
8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