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스페셜
"
정상
"(으)로 총 1,18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주변세포, 줄기세포처럼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1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변세포를 활용해 폐 오가노이드(미니 장기)를 만들었다.
정상
폐 성체세포는 오가노이드를 만들면 폐의 상피세포를 주로 형성한다. 반면 암세포가 변화시킨 주변세포는 폐의 상피세포 외에도 더 넓은 범위의 세포를 형성했다. 암세포가 주변세포를 분화가 덜 된 줄기세포로 ... ...
AI 대학원 어디 갈까…"KAIST AI 과목수,성균관대 교수 최다…고려대 산학협력 강점"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말에 공지가 나가고 10월 첫 주에 원서 접수를 시작한다. 성균관대 역시 가을학기 수업을
정상
적으로 진행하지만, 개원식은 다소 늦은 10월 개최한다. 성균관대는 세 대학원 가운데 가장 많은 총 15명의 전임교수가 총 12과목의 전공과목을 개설한다. 50명의 학생을 신입생으로 선발했고, 9월부터 2020년 ... ...
최기영 장관 후보자도 피하지 못한 부실학회 논란…모르쇠式 연구재단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가 예방 관련 사이트로 올라갔음을 볼 수 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IARIA는 자신들은
정상
적인 학회라며 비올 리스트는 공신력이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IARIA 설립을 주도하고 현재는 IARIA 과학 분야 코디네이터를 맡고 있는 페트르 디니 박사는 이메일을 통해 "한국 정부 기관이 비올 리스트와 같은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발견했다. 지금의 짐바브웨가 된 로디지아는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지역이었다. 그런데
정상
적인 적혈구를 가진 환자의 15%는 말라리아를 앓고 있었지만 겸상 적혈구를 가진 환자는 오직 9%만 병을 앓고 있었다. 몇몇 학자들이 이런 이상한 현상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옥스퍼드에서 생화학과 ... ...
알츠하이머 치매 PET로 조기 판별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노화신경생물학' 에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 알츠하이머 치매는 신경세포 안팎에 비
정상
적인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이 쌓이면서 기억력을 떨어뜨리는 질환이다. 아직 근본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았고, 증상을 늦추는 쪽으로 치료하고 있다.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무너뜨린다. 혈액 1마이크로리터에 CD4+ T세포의 수가 200개 밑으로 떨어진 상태를(
정상
범위는 500~1500개)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면역력이 뚝 떨어지면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만 일어나는 '기회감염'으로 쉽게 질병에 걸리고 암에 걸릴 위험성도 크게 높아진다. HIV 감염에서 ... ...
안구운동 측정해 수면부족 여부 판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떨어진다. 하지만 이런 경우 안구운동 검사를 해보면 갑자기 나타나는 물체를 놓칠 만큼
정상
과 큰 차이를 보인다. 연구를 이끈 릴랜드 스톤 NASA 에임즈연구센터 시각운동조절연구실 선임연구원은 "흔히 수면장애를 가볍게 지나칠 수 있지만, 수많은 교통사고와 작업장에서 사고, 심지어 ... ...
"올해 7월 역사상 가장 더웠다"…14일간 빙하 8억t 녹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huss)에 공개했다. 후스 박사후연구원은 "지난해 같은 계절과 비교했을 때 빙하가 비
정상
적으로 빠른 속도로 녹았다"며 "특히 알프스에서 가장 넓은 빙하지역인 알레치 빙하는 1870년 이후 3km나 줄었다"고 설명했다. 알레치빙하의 현재 길이는 약 23km다. 그는 "프랑스 몽블랑 등 여름 스키장이 더 ... ...
"누에 똥으로 중력장 증폭?" 정부 연구기관이 낸 이상한 논문 철회 '망신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R&D) 예산이 비과학적인 연구에 아무런 제지없이 사용됐다는 지적과 함께 논문이
정상
적인 동료 평가를 거쳐 논문을 발행하는 130년 역사의 국제학술지에 1년 가까이 게재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동료평가(피어리뷰) 과정에 구멍이 뚫린 게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논문 철회 감시 사이트 ... ...
만성요통 환자 자극선별 세포와 통증감각 처리 뇌 영역 유독 발달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증감에 따른 뇌의 변화도 함께 관찰했다. 만성 요통 환자의 경우,
정상
인에 비해 현출성 네트워크와 일차체성감각피질 간의 연결상태가 통계학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현출성 네트워크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들어온 자극∙통증에 대한 정보를 감지해 신체적 반응을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