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스페셜
"
단
"(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성분양를 비교했음. 전자담배가 연초 담배보다 유해성이 덜하다고는 어떤 전문가도
단
언하지 못합니다. 연초 담배의 유해성은 오랜 연구결과와 사례로 축적돼 있습니다. 주류연과 부류연 모두에서 발암물질이 나와 각종 성인병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와 있어요. 반면 평생 전자담배만 ... ...
세포의 운명 결정짓는 ‘지문’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10.09
실마리를 찾을 수 있으리란 전망을 내놨다. 또 가빈 켈시 영국 바브라함연구소 연구원은
단
일세포분석과 다중세포분석을 동시에 활용하는 기술을 통해 후성유전학적으로 달라지는 세포의 운명을 알아낼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 ...
최대 시속 160㎞, 참치 수영실력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23
참치가
단단
한 지느러미의 움직임을 제어해 헤엄쳐 나간다는 것까지 확인했다. 참치가
단
순히 순항할 땐 공간의 움직임이 적었으나, 먹이를 쫓는 등 순발력이 필요한 행동을 보일 때는 공간을 움직여가며 지느러미의 움직임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치가 가진 림프계의 공간은 참치 외 ... ...
나는 항상 희생만 한다? 자기중심적 세계관에 빠진 사람들
2017.07.22
보인다고 겉보기로 판
단
할 때 또 다른 누군가는 나의 삶이 참 쉬워 보인다며 나를 쉽게 판
단
할 수 있음을 떠올려 보자. 또한 내가 누군가에게 관심을 주고, 식상한 위로라고 할지라도 조금이라도 타인을 위해 마음 쓰는 것이 당연하지 않듯 나에 대한 타인의 관심도 결코 당연하지 않을 것이다. ※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
2017.07.05
즉 우리는 언어적 사고를 하는 동물이라는 말이다. 내적 언어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단
일 화자가 말하는 방식과 둘이 대화를 나누는 방식이다. 머릿속에서 대화를 나눈다니 좀 이상해 보이지만 사실 머릿속에서 묻고 답하는 경우는 흔하다. 대표적인 예가 경기 중의 운동선수가 머릿속에서 감독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다진법 기반 전자소자 가능성을 발표했으며(네이처 피직스, 2017. 02) 나노구조물리 연구
단
은 빛의 속도로 정보를 전달하는 초고속 광전소자를 개발했다(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6. 11). 이렇듯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해 기초과학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상용화시기를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알고리즘을 이용해 4분 만에 답을 낼 수 있는 획기적인 처리방식을 구사한다. 하인리히
단
장은 "세상을 이루는 가장 작은 요소인 원자를 연구함으로써 기초과학이 경제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어휘와 문법의 정보밀도와 발화속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대화에서 잘 안 쓰는
단
어의 빈도가 높을수록 발화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향은 주로 남성과 나이 든 사람에서 두드러졌다. 한편 대화의 문장에서 수동태의 비율이 높을수록 역시 발화속도가 느렸다. 이런 경향은 ... ...
[사이언스 지식IN] 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렸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1
걸린 고양이가 사람에게 조류독감을 옮긴 기록은 전세계적으로
단
한 것도 없다”고
단
언했습니다. 하지만 감염 경로가 확실하지 않은 사례는 몇 가지 있습니다. 최근 미국의 한 수의사가 조류독감에 걸린 고양이로부터 조류독감이 옮은 것으로 의심된다는 보고는 있었습니다. 다행히 그 수의사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제공 한편 페인은 뛰어난 후학들을 많이 배출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학계에는 ‘페인 사
단
’으로도 불린다. 실제 1999년 메리언 콘이 그린 페인계통도가 있을 정도다. 그림에서 나무기둥이 페인이고 직계 제자들인 큰 가지에 그들의 제자들로 이루어진 작은 가지들이 나 있다. 페인이 이처럼 뛰어난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