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싱글
하나
독신
개인
솔로
쏠로
뉴스
"
혼자
"(으)로 총 1,006건 검색되었습니다.
입학 3개월만에 국가 SW경진대회 대상 ‘마이스터고’의 힘
2015.10.02
교장은 “기업에서는 모든 일을 서로 협력해서 진행하는 반면 학교에서는
혼자
공부하고
혼자
평가받는 게 일반적”이라며 “학생들이 협업하며 공부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원에 가거나 야간자율학습이 없는 대신 학생들은 기타 연주 등 방과 후 활동과 ... ...
20년 뒤 미래, TV는 둘둘 말리고 신원인증은 ‘정맥’으로
2015.09.25
대해 “옷을 입고 있는 한 당신은 온라인 상태에 있을 수밖에 없다”며 “미래에는
혼자
조용히 죽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창립 20주년을 맞아 20년 뒤 한국 경제를 이끌어 갈 ‘2035년, 대한민국 미래 도전기술 20선’을 선정해 24일 발표했다. 2035년 우리가 만날 ... ...
논문에서…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4
많았다(41%). 반면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대부분 개인적 차원에서 이뤄졌다. ‘
혼자
고민만 했다(25%)’, ‘실험실 선후배와 논의했다(39%)’ 등이다. 연구윤리 전문가와 논의한 사람은 3%에 불과했다. 그나마 논의를 해도 대부분 상담으로 그친다. 조 팀장은 “그동안 상담한 사람 중에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두 사람은 6개월에서 1년 정도 시도를 해보고 안 되면 실험을 접기로 합의했다. 그리고
혼자
실험을 시작한 밀러는 불과 몇 주 만에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밀러는 유리 기구를 교묘하게 배치해 원시 지구의 대기를 재현했다. 즉 대기를 이루는 물질로는 현재의 조성인 질소와 산소 대신 메탄,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먹으면 불로장생하고
혼자
두 개를 다 먹으면 신선이 될 수 있는데, 항아는 이 불사약을
혼자
다 먹고 달로 도망가 버린다. 하지만 남편을 배신한 항아는 아름다운 모습을 잃고 두꺼비로 변해 버린다. 일본에는 대나무 숲에서 발견된 달나라 공주 가구야가 있고 한국에도 ‘해님과 달님’이라는 ... ...
와 함께하는 ‘쥬니버 과학스쿨’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5.09.18
별로 다른 실험으로 구성된다. 10월 16일에 진행되는 1기 쥬니버 과학스쿨에서는 어린이
혼자
할 수 있는 ‘원통거울 미술관’, 부모와 함께 하는 ‘스마트 홀로그램’ 실험이 진행된다. 의 인기 코너인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형식으로 대결 코너도 진행된다. 판자를 이용해 ... ...
우리 개도 TV 볼 수 있을까요?
2015.09.04
있어 TV를 보는 행동을 칭찬하다 보면 TV 시청 습관을 기를 수 있다”며 “고양이는
혼자
있는 것을 즐기는 습성이 있어 TV 시청 습관을 들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09.01
가상세계보다 운동처럼 현실에서 즐길 수 있는 취미를 찾으라”고 조언했다. 그는 “
혼자
보다는 여럿이 함께 하는 취미를 갖는 것도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거나 벗어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 중독을 예방하려면 몸을 많이 움직이고 여럿이 함께 하는 취미를 가지는 게 좋다. ... ...
KAIST 사이버 영재교육 수강생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31
스스로 학습하는 교육방법을 사이버교육이라고 한다. 그런데 선생님을 직접 만나지 않고
혼자
컴퓨터를 통해 공부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사이버교육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전략이 무엇일까? 정답은 역시 ‘깊이 생각하기’다.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산하 ... ...
싱글 족의 반론 ‘걱정마, 난 행복해’
2015.08.25
살아간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한 목표회피 성향의 사람은(왼쪽 그래프 실선)
혼자
살 때와 타인과 함께 살 때의 만족도 차이가 크지 않다. 반면 강한 목표접근 사람의 경우(오른쪽 그래프 실선) 타인과 함께 할 때 삶의 만족도가 월등히 높아진다. - 사회심리학과 인성과학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