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6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발표대회' 페임랩 코리아 대상에 부가연 씨
연합뉴스
l
2020.05.09
이사장상) 수상자와 우수상(주한영국문화원장상) 수상자로는 각각 안민혁 씨(단국대
학부
생)와 김준연 씨(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강사)가 뽑혔다. 페임랩 코리아는 '과학'을 주제로 3분간 발표하는 능력을 겨루는 대회로, 발표 자료 없이 독특한 소품을 이용하는 게 특징이다. 이번 대회에는 총 1 ... ...
코로나19 증상 추적 앱, 감염병 발생 찾아내는 능력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6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앤드류 챈 미국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면역학 및 감염병
학부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관련 증상 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코로나19 증상 트래커(추적)'를 개발하고 여기서 모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이달 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5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전헌수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5.06
6일 결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차세대 레이저 전문가인 전헌수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5월 수상자에 전 교수를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전 교수는 차세대 레이저로 주목 받는 ... ...
[표지로 읽는 과학]천연 항균물질이 세균 죽이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5.02
천연 항균제로 이용하기도 한다. 저우홍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미생물
학부
교수와 제프 밀러 교수 공동연구팀은 녹농균이 만들어내는 박테리오신 ‘피오신’이 어떻게 다른 세균을 죽이는지를 밝혀낸 연구결과를 지난달 15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세한 분자를 관찰하는 ... ...
대재앙 일어날 정확한 '그날'을 예언한다…난제 중 난제 '기후재앙' 막을 해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양을 늘릴 수 있다. 심우영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이종권 청주대 광기술융합
학부
교수도 지구 온난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재생에너지 기술을 제안했다. 심 교수는 뉴로모픽 기술과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융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뉴로모픽’은 인간의 뇌와 유사하게 정보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5월 4일 생애를 마쳤다. 얼마 남아 있지 않은 기록에 따르면, 그는 1916년 미주리대에서
학부
를 마치고 이후 존스홉킨스대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1917~1918년 툴레인대에서 해부학 강사로 재직하다 1921~1922년 헨리 포드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다. 1924~1926년까지 버팔로대 의대 생리학 ... ...
코로나19로 잠시 깨끗해졌지만…지구 위기 다시 찾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9를 다루는 방법에서 배울 수 있다고 제안한다. 데이비드 커머포드 영국 스털링대 경제
학부
교수는 컨저베이션에 코로나19와 기후변화가 구조적으로 닮아있다며 대응 방안 또한 같을 수 있다는 기고문을 비영리 매체 ‘컨저베이션’에 발표했다. 그는 “코로나19와 기후변화는 4가지 측면에서 ... ...
인류 지식의 지평 넓히는 연구에서 소외된 한국 "이제는 우리도 뛰어들 때"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내다봤다. 은하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할 새 관측 기법으로는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가 제안한, 지구에서 볼 때 은하의 각도에 따른 밝기 차이를 고려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다중신호 천문학에선 중력파와 우주전파를 모두 활용한다. 멀리 떨어진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동원하는 ... ...
'지구를 생각하는' 독자들이 주목한 환경 뉴스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등 호주 대륙에서만 서식하는 토착종도 많다. 크리스 딕맨 호주 시드니대 생태
학부
교수는 이번 호주 산불로 약 10억 마리의 동물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했다. (계속보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3599 ) ●팔라우에선 자외선 차단제 바르지 마세요 (2020.1.2) 남태평양의 섬나라 ... ...
美 뎅기열 프로젝트 이끄는 韓과학자 코로나19 항체백신 부작용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최혜련 미국 플로리다 스크립스연구소 면역학 및 미생물
학부
교수와 마이클 파르잔 교수 공동연구팀이 항체 백신의 부작용으로 지목된 항체의존면역증강(ADE) 현상이 코로나19 항체 백신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이달 12일 ‘바이오아카이브’에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