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뉴스
"
오늘날
"(으)로 총 1,01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예상보다 더 찾기 힘들 것”
2015.03.29
은하의 원반이 회전하는 속도에는 암흑물질의 질량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오늘날
엔 은하를 구성하는 요소로 항성과 성운 가스 등과 함께 암흑물질을 포함시킨다. 데이비드 하비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 우주망원경이 찍은 은하충돌 모습 72개의 ... ...
두께 3nm,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개발
2015.03.25
오늘날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는 그 두께가 5~7mm 내외로 얇지만 더 얇게 만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유원종 교수팀이 만든 초박형 반도체(가운데 초록색). 세로 길이는 10마이크로미터로 미세먼지와 비슷한 크기다. - 성균관대 제공 유원종 성균관대 나노과학기술학과 교수팀은 세계에서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 치키노사우루스 복원 가능할까
동아일보
l
2015.03.18
있다. ○ 화석으로부터 멸종 동물 복원하기 실제로 공룡을 본 사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는 많은 공룡을 알고 있다. 바로 고생물학자들이 화석으로부터 멸종 동물을 복원하는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지층에서 발굴한 뼈 화석을 부위별로 맞춘 다음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 최근호에는 6억 년 전 에디아카라기의 동물화석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오늘날
해면동물과 비슷한 형태인 이 동물은 길이가 1.2mm에 불과하지만 현미경으로 보면 세포 하나하나까지 완벽하게 보존된, 심장을 연상케 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즉 속이 비어있는 통 구조인데 위가 뻥 ... ...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절지동물 발견
2015.03.15
아노말로카리스는 육식을 즐겼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새로 발견된 아에기로카시스는
오늘날
의 고래처럼 플랑크톤을 주식으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래에서 볼 수 있는 ‘여과기’와 유사한 구조를 이 절지동물의 구강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진화과정이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되는 각도를 알아내 중력상수를 구해냈다. 캐번디쉬가 구한 중력상수(6.74 X 10-11 m3/kgs2)는
오늘날
알려진 값(6.67428 X 10-11m3/kgs2)과 놀라울 정도로 차이가 거의 없다. 중력상수는 우리에게 다양한 사실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두 양성자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과 전기력을 비교해보면 중력이 전기력의 약 1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향한 부당한 비난을 더 이상 견딜 수 없다는 유서를 남기고 결국 자살을 선택했다.
오늘날
의 시각으로도 뻔뻔스럽다고 할 정도로 간통을 즐기면서도 승승장구했던 과학자도 있고 미디어의 먹이가 돼 (아마도 억울하게) 간통혐의를 뒤집어쓰고 목숨까지 끊은 소심한 과학자도 있는 걸 보며 타인의 ... ...
[3D 프린터, 혁명을 출력하다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5.03.02
이렇게 스테레오리소그라피(SLA) 방식의 3D 프린터가 탄생했다. 남자는 미국의 발명가이자
오늘날
세계 최대 3D프린터 업체인 ‘3D시스템즈’사 창업자인 척 헐이다. 그는 자외선을 이용해 광폴리머를 안정적으로 굳혀 표면 코팅제를 만드는 실험을 하던 중 아이디어를 얻었다. 글루건에서 ... ...
컴퓨터가 0과 1만 알아듣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15.03.01
수 있다. 튜링은 이런 원리를 튜링기계에 적용했다. 훗날 이것이 컴퓨터 제작에 반영돼
오늘날
컴퓨터가 0과 1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밖에도 수학동아 3월호 기획 기사에서는 리만가설부터 수리생물학까지 암호 해독이나 컴퓨터 관련 업적에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은 앨런 튜링의 수학 ... ...
펭귄은 ‘쓴·단·감’ 못 느끼는 ‘미맹(味盲)’
2015.02.17
관련된 유전자도 함께 작동을 멈췄을 가능성이 크다”며 “빙하기를 거친 펭귄이
오늘날
과 유사한 형태로 진화하면서 이런 변화가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장 교수는 “다른 조류와 달리 유독 펭귄의 혀에는 맛을 느끼는 감각기관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며 “음식물을 씹지 않고 통째로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