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434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덕꾸러기' 해파리 독소에서 치매 억제 물질 발견
연합뉴스
l
2023.10.18
연구'(연구책임자 KIOST 염승식 박사)의 하나로 수행됐다. 강도형 KIOST 원장은 "유해 해양
생물
인 해파리 독이 유용 해양바이오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미가 크다"라며 "연구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 ...
의대 정원 확충 '초읽기'..."필수의료 기피·의대 쏠림 해법 제시해야"
2023.10.17
짙어지고 있다. 이공계 의대 이탈이 더 심화될 것이란 우려다. 서울의 한 주요대
생물
학 교수는 “의대 정원이 확대되면 더 많은 이과학생들이 의대를 선택하게 될 것은 불 보듯 뻔한 사실이고 기존 학생이 떠나는 상황까지 생각해야 할 것"이라며 ‘의대 전성시대’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 ...
"주관적 인지 저하, 치매 위험 예고 신호"
연합뉴스
l
2023.10.16
대조군 노인들보다 인지기능 저하와 MCI 위험이 높았다. 그러나 뇌척수액의 치매 관련
생물
표지 수치는 두 그룹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이는 주관적 인지 저하도 MCI로 진행될 위험이 크고 신경심리 검사 성적이 낮을 경우 치매까지 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10.16
것이라고 생각한다. ※필자소개 박종남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서울대 화학
생물
공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MIT의 모운지 바웬디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냈다. 2010년부터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서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새로운 물성을 갖는 나노입자 합성 연구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질환 정복하려면 ‘뇌세포 연구’가 먼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뇌 지도를 완성하겠다는 목표다. 지금까지 대부분 동물모델에 적용해왔던 분자
생물
학 방법론을 인간의 뇌세포 연구에 적용해 인간의 뇌세포 유형과 생리학적·해부학적 특성, 뇌세포 구성과 발달, 기능 등을 살피고 있다. 마티아 마로소 사이언스 시니어 에디터는 이번에 발표된 논문들과 ... ...
"야근 교대 근무, 식욕 촉진 이유 밝혀졌다"
연합뉴스
l
2023.10.13
표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생물
학 전문지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 최신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⑨풀어드립니다…합성
생물
학·세포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정부는 향후 첨단바이오 선도국 수준의 유전자·세포 치료를 위한 확보하는 한편 합성
생물
학에 기반한 백신 및 신약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제조 공정 시설인 '바이오 파운드리(Biofoundry)'를 구축할 예정이다. ... ...
역대 최대 규모 '뇌 세포 지도' 공개...뇌 기능, 분자 단위로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위트레흐트의료센터 연구원, 양 리 미국 오하이오대 신경과학과 교수, 웨이 톈 소크
생물
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수행했다. 이들은 유전자 발현과 유전자 조절 구조를 토대로 인간 뇌 세포 지도의 초안을 만들었다. 뇌전증과 종양으로 수술을 받은 성인 75명의 뇌 세포 변화를 분석한 넬슨 ... ...
"손목 밴드로 조울증 기분변화 제때 진단 가능"
연합뉴스
l
2023.10.12
48시간 동안 착용하게 하고 손목밴드를 통해 나타나는 피부의 전기활동 등 생리학적
생물
표지를 수집했다. 조울증 환자는 울증 상태와 조증 상태일 때 피부의 전기활동이 달랐다. 건강한 사람과도 달랐다. 울증 상태일 때는 다른 조울증 환자나 건강한 사람들보다 피부의 전기활동이 현저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수상 업적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실제로 화학상의 수상 업적에 ‘DNA‧ATP‧리보좀‧
생물
고분자‧세포막‧단백질‧진핵전사‧수용체’는 물론 ‘준결정‧현미경’까지 등장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는 오히려 전통적인 ‘화학적 업적’은 오히려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결국 202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