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53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정맥 실시간 진단해 치료하는 전자패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새로운 심장 질환 진단 및 치료 전자장치에 활용될 수 있다"며 "향후 임상실험으로
상용
화해 실제 부정맥 환자들에게 적용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IBS 나노의학연구단이 개발한 전자패치의 모식도. IBS 제공 ... ...
고용량 배터리 실리콘 음극재, 추우면 잘 깨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실리콘은 기존
상용
화된 음극재인 흑연보다 10배 정도 용량이 크다. 이러한 특성으로 고용량 배터리 소재 후보로 꼽혔지만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수록 팽창하면서 입자와 전자가 파괴된다는 단점이 있다. 파괴되면서 깨진 표면을 ... ...
한국 과학자, 미래에너지 핵융합 운전방식 주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발생한다. 플라즈마가 풍선처럼 터지며 핵융합로 내벽에 손상을 일으킨다. H-모드가 기본
상용
로 운전방식으로 고려되고 있으나 과학자들이 새로운 운전방식을 찾고 있는 이유다. 연구팀은 새로운 운전방식인 ‘FIRE’를 개발했다. 2008년부터 운영해온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운전데이터 ... ...
게·랍스터 껍질로 만든 배터리...성능은 물론 환경도 챙겨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존중하면서 저렴하고 높은 효율을 가진 배터리는 앞으로 주목해야 할 개발 분야”라며 “
상용
화를 위한 검증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전기차 화재 유발 리튬이온배터리 내부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1
배터리 소재로 주목 받고 있지만 충전 과정에서 부피팽창으로 인한 폭발 위험이 있어
상용
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흑연과 실리콘 사이 존재하는 기공이 부피팽창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구체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로 기공의 크기에 따라 부피팽창 여부가 달라진다는 ... ...
의료·산업용 동위원소 국내 자립화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31
함께 구축된다. 수출용 신형연구로로 생산된 동위원소 원료물질의 활용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화를 준비한다. 약 303억원을 들여 2024년 10월 준공될 예정이다. 준공 후 원자력연 내 동위원소연구부가 연구센터로 이전한다. 이날 체결된 협약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업추진 노력(제1조), 시·군 ... ...
내년도 과기정통부 예산안 18.8조원...정부 R&D 예산 첫 30조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8.31
노후‧공백 장비를 보강하고, 차세대 소형모듈 원자로 개발을 추진하며, 세계 최초 6G
상용
화를 위해 달려가는 등 우리가 앞서있는 전략기술 분야에서 초격차를 확보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디지털플랫폼 정부 조기 구축에도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
차세대 대용량 전지 '리튬금속전지' 출력·안정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우수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리튬금속전지는 고용량이라는 장점에도 안정성 문제로
상용
화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며 "고속 충·방전 조건에서도 리튬 전·탈착 효율이 향상된 리튬 저장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 ...
롯데, KAIST에 140억 출연...'탄소중립' 연구 허브 조성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단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개방형 공동실험실이 마련되며 연구 성과는 롯데와 협업해
상용
화를 시도한다. 디자인 센터는 산업디자인학과에서 운영한다. 데이터 기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인간중심 인공지능(AI) 상호작용 기술·서비스 개발, 가상과 현실을 통합한 미래형 제품과 서비스 ... ...
모더나·화이자 코로나 mRNA 백신 기술 특허 다툼
동아사이언스
l
2022.08.28
사태 때 백신을 빠르게 만들어낼 새로운 백신 개발 방식으로 채택받았다. 사태 전까지는
상용
화되지 않았다. 화이자·독일 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는 mRNA 방식을 빠르게 채택하며 전세계 코로나19 백신 시장의 60%을 장악했다. 모더나는 화이자·바이오앤테크가 올해 3월 8일 이후부터 판매한 코로나19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