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9회 인촌상-과학기술] 서영준 서울대 약대 교수
2015.09.01
● 공적 서울대 제약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쳤다. 발암물질이 정상세포에
돌연변이
를 일으켜 암세포를 만드는 과정을 처음 밝혀낸 제임스 밀러 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교수의 논문을 읽고 감동을 받아 무작정 손 편지를 보냈다. 이것이 인연이 돼 2000년 작고한 밀러 교수가 논문지도를 ... ...
“하체마비 환자 3년안에 치료… 미래엔 ‘줄기세포 은행’ 생길 것”
2015.08.31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는 “만들어낸 줄기세포의 유전자를 모두 조사해 암 유전자나
돌연변이
가 없어 암이 될 가능성이 매우 적은 ‘착한 줄기세포’만 남겨 다시 배양하면 치료 목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줄기세포를 만들 때 외부유전자 또한 세포가 갖고 있는 ... ...
한 번 암이 된 세포,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을까
2015.08.25
찾아냈다고 밝혀다. - 오픈클립아트 제공 암세포는 정상세포의 유전자 여러 군데에
돌연변이
가 생기면서 발생한다. 그런데 이렇게 한 번 암세포가 된 세포를 다시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을까. 파노스 아나스타샤디스 미국 메이요클리닉 박사팀은 새롭게 발견한 단백질(PLEAKHA7)과 마이크로RNA(miRNA)가 ... ...
맛있는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 방법
2015.08.23
현재는 대표 품종이 됐다. 하지만 미국 연구진은 균질성숙 토마토 품종들이 가진
돌연변이
유전자가 토마토의 풍미를 저해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제임스 지오반노니 미국 농무부 연구원은 코넬대,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와 공동으로 균질성숙 품종의 유전자가 식물의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돌연변이
효모를 넣어 발효를 했다. 그 결과 둘 다 정상적으로 알코올 발효가 일어났지만
돌연변이
효모가 들어간 쪽은 향이 훨씬 약했다. 예상대로 양쪽에 각각 배양접시를 둔 뒤 초파리를 풀어주자 초파리들은 정상 효모가 발효시킨 쪽으로 몰려들었다. 효모가 발효과정에서 다양한 향기성분을 ... ...
에볼라 전쟁에서 얻은 교훈
2015.08.09
샘플 85개에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도 실렸다. 여기서는 에볼라 바이러스 중 다양한
돌연변이
에 의해 생긴 3종류의 계열이 지속적으로 전파되고 있다는 증거를 잡았다. 사이언스 제공 거대한 기둥 세 개. 그리고 이 기둥을 받치고 있는 기둥대에는 섬세한 장식이, 기둥 옆으로는 망가진 장벽이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차기’ 비유와 유사한데 남한에서 상향식 해석이란 말을 북한에서는 ‘웃방향 해석’,
돌연변이
를 ‘갑작변이’, 광전류를 ‘빛전류’라고 쓴다. 북한 정부는 과학기술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외래어로 된 어려운 학술 용어를 고유어로 전환하는 어문정책을 펼쳤다. 사진은 북한 ... ...
메르스 종식 선언 앞두고 메르스 무력화 시키는 항체 발견
2015.07.28
들어간다. CD26이 문에 달린 자물쇠라면 바이러스의 S단백질은 열쇠인 셈이다. 연구팀은
돌연변이
연구와 컴퓨터 모델링 등을 통해 이 항체가 메르스 바이러스의 열쇠인 S단백질에 붙는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했다. 항체가 S단백질과 CD26의 결합을 저해하는 셈이다.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 ... ...
피 안 멎는 혈우병, 세포치료제로 고칠 수 있나
2015.07.24
유전자 가위는 DNA에서 원하는 염기서열만 찾아내 잘라 내는 효소를 말한다. 혈우병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한 줄기세포를 혈액응고인자를 만드는 혈관내피세포로 분화시킨 뒤 혈우병에 걸린 쥐에게 이식했다. 쥐의 꼬리를 잘라 인위적으로 출혈을 일으키자 이 세포를 이식받지 않은 쥐는 평균 65분 ... ...
새 대장암 치료제 나온다
2015.07.22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대부분의 대장암은 APC라는 암억제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겨 발생한다. 세포증식을 일으키는 ‘윈트(Wnt)’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 ‘베타카테닌’이라는 단백질이 세포 내에 축적되고 이것이 핵 안으로 들어가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