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화
다채성
복합성
뉴스
"
다양성
"(으)로 총 92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우유를 못 마시면 뭔가 촌스러운(?) 사람이 됐죠. 이제는 문화의
다양성
이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우유를 못 마시던 어른들이 알약을 먹고 우유와 아이스크림을 먹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당당히 “우유를 못 마시는 사람들이 걱정 없이 마실 수 있는 우유”를 사서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다양한 임상연구도 하고 있다. 비록 (유도만능줄기세포라는) 한 방향으로 가고 있어
다양성
이 좀 부족한 점이 있지만 말이다.” ―한국은 어떤가. “잘 모르는 상황에서 뭐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다만 내 실험실에 똑똑한 한국 과학자들이 너무 많은데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어도 할 일이 없어 ... ...
드디어 나왔네요, 인터스텔라의 과학
2015.01.04
이런 악순환을 막기 위해서는 생각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경제성장과 생물
다양성
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이 생각의 전환이라는 것이다. 물고기를 잡는 방식을 전환하고, 보호 어종은 소비를 줄이고, 유해동물 목록은 수정해야 한다. “붉은여우, 박새, 점박이물범이 사라진 지구를 생각해 ... ...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가까운 빛깔이듯, 선명한 청색의 털빛을 가진 지상 동물을 찾기는 쉽지 않다. 김산하 생명
다양성
재단 사무국장은 “일반적인 지상 환경에서 가장 찾기 힘든 색이 청색이기 때문에 이런 빛깔을 가진 동물은 생존에 불리할 수 있다”며 “덕분에 선명한 청색 색소를 가진 동물의 수는 상당히 적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Neural Darwinism)’를 제창한다. 즉 에델만이 항체의 구조를 밝히기 전까지 항체의
다양성
은 항원과의 상호작용 결과라는 해석이 우세했다. 즉 항원을 만난 항체들은 거기에 맞게 구조가 변형돼 훗날 같은 항원을 만나면 바로 결합할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에델만은 항체의 인식과정이 학습이 아니라 ... ...
앵무새 뇌에는 노래 유전자가 3개
2014.12.14
0.72%) 진행 될 경우 2020년이면 75% 이상의 동물이 멸종할 것이라고 한다. 문제는 생물 종
다양성
을 해치는 주범이 인간이라는 점이다. 학자들은 세계 각국 정부가 펼치고 있는 생물 종 보전을 위한 정책들이 별 효과가 없다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 학자들은 현재 생물이 놓인 상황을 더욱 면밀히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갱년기뿐만 아니라 우울증과 불안, 초조 등을 유발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는 인간의
다양성
을 설명하는 데 호르몬을 빼놓을 수 없으며, 한 개인의 상태가 시시각각 변화하는 이유도 호르몬의 영향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지식적인 차원에서 호르몬에 대한 상식을 넘어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 ...
뉴욕시 거리 쓰레기 처리 일등공신은 개미?
2014.12.02
적은데도 거리에 놓아둔 상자 속 음식물이 공원에서보다 2~3배 더 많이 사라졌다. 이는 종
다양성
이 풍부한 곳에서 더 많은 음식물이 소비될 것이라는 연구진의 가정과는 다른 결과다. 연구진은 음식물을 많이 먹는 ‘도로 개미’라는 종이 공원보다 거리에 많이 사는 것이 이유일 수 있다고 ... ...
“생태계 보호로 남북이 평화 이루기를…”
2014.11.25
겪게 된다는 것이다. 올해 10월 12일 발효된 나고야의정서 역시 각 나라가 생물종
다양성
보호를 법으로 규제하는 국가 차원의 노력은 물론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화여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열린 강연에서도 제인 구달 박사는 “한 사람 한 사람의 생각과 선택,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곤충 진화 연대표’에 따라 순서대로 늘어 놓은 것이다. 곤충은 자연계에서 가장 종
다양성
이 풍부한 동물군이지만 각각의 곤충이 언제 등장했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논란이 많았다. 베른하르트 미소프 독일 알렉산데르 쾨니히 동물학연구박물관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진은 절지동물 14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