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인
사망자
망자
고인
d라이브러리
"
죽은사람
"(으)로 총 950건 검색되었습니다.
AIDS 치료제 일본에서 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항 Fas단클론항체를 만들어 실험관에서 실험한 결과, 좋은 성적을 얻어냈다.AIDS와 싸워 이길 수 있는 새로운 무기가 하나 추가되었다. AIDS에 감염된 세포만을 골라 죽이는 '항(抗) Fas단클론 항체'가 최근 일본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것이다. 주역은 고바야시교수(야마구치의대)와 요네하라박사(도쿄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빗물과 그릇의 평범한 만남은 획기적인 측정기기의 탄생을 알리는 서곡이었다. ●―태종우의 전설'음력 5월 초열흘(금년의 경우, 양력으로 6월 13일)에는 매년 비가 오신다'. 이는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에 있었던 전설이다. 전설이니까 무슨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실제로 꼭 비가 온 ... ...
홍도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그동안 기록되지 않았던 15종의 식물, 특히 참비비추 붉은고로쇠 흰알며느리밥풀의 발견은…제5회 전국고교교사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지난 7월31일부터 6일간 홍도지역에서 펼쳐졌다. '과학동아'와 '동아문화센터'가 공동주최하고 '쌍용'이 후원한 이번 행사에는 문교부 추천교사 9명등 16명이 참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화산도와 산호초로 이루어진 별처럼 많은 섬들. 그곳엔 아직 원시의 순수와 아름다움이 살아 있다.고고학이나 언어학자들은 폴리네시아인의 기원지가 멜라네시아이며 궁극적으로는 아시아라고 보고 있다. 피지제도에서 사모아와 통가 두 제도에 이주한 사람들이 3세기경 마르케사스제도로 건너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생물이 웃고 있을 때 인간은 우는 것으로 보기 쉬우며 그 반대의 경우도 흔하다.인간은 다른 생물들과 다른 감각 세계를 살고 있다. 즉 다른 생물들이 보고 듣고 냄새맡고 느끼는 일을 결코 동일하게 따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생물의 감각세계에 대한 오해가 수없이 많다.가령 풀밭에 화려하게 피어 ... ...
극한 상태에서 사는 생물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태양광선 온도 습도 등 생물이 사는데 필요한 조건을 완전히 무시한 상태에서 끈질기게 살아가는 독특한 생물들이 있다.우리나라에선 아직 상영되지 않았지만 미국과 유럽 등 여러나라에서 반응이 컸던 미국영화 '에이리언'에 등장하는 지구밖의 외계생물은 자체 종족보존을 위하여 존재하는 이른 ... ...
PARTⅡ 사례로 본 4차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공간에 시간축이 개입함으로써 발생되는 기상천외의 해프닝들. 물리학은 이것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을까?우리는 여기서 4차원의 세계가 현실에 있는가 없는가 하는 기본적인 문제를 생각해보자. 만약 4차원세계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어떤 것이며 어디서 볼 수 있을까? 그것은 서울시의 한복판에 ... ...
꽃이 오래 피게 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졸업과 입학의 계절이다. 동시에 꽃다발의 계절이다. 청초하고 아름다운 꽃들에 주는 이의 마음을 담아 전해지는 것이다.그러나 이 꽃들은 아쉽게도 금방 시들어 버린다. 좀더 오래 피어있다면 좋으련만. 그렇다고 화분 채로 선물하기란 번거롭다. 이런 이들을 위해 좀더 수명이 긴 꽃들이 연구되고 ... ...
모스크바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소비에트연방과 러시아공화국의 수도 모스크바. 이 도시를 처음 이룬 것은 지금도 모스크바 동북쪽 1백50km지점에 남아있는 오래된 도시 브라디미르와 수즈달리를 근거로 살았던 수즈달리공 ‘유리 돌고르키’(Jurij Dolgorukie)였다. 12세기초에 수즈달리공이 모스크바 강과 네그린나야 강이 합류하는 ... ...
타조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동물가운데 가장 큰 포유류가 코끼리라면 조류중 가장 큰 새는 타조이다.조류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2억년전이다. 당시 오랫동안 번성했던 파충류의 일부가 분화되면서부터였다.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가장 오래된 새는 이른바 시조새(始祖鳥)다.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