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광학천문본부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은 “국경을 막론하고 외계행성을 찾는 이유는 인류가 거주할 수 있는 또 다른 지구를 찾기 위해서”라며 “KMTNet은 올해 10개 정도의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2020년까지 계속 탐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나쁘지 않을 것이다. 박한선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신경인류학자다. 현재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사회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서울대 비교문화연구소에서 정신의 진화 과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등을 썼으며, 저서 ‘행복의 역습’ ... ...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까지 인권을 향한 역사적 노력은 멈추지 않았다. 그리고 마침내 인류는 1948년 12월 10일 유엔 총회를 통해 억압과 차별에 맞서는 방파제로서 ‘세계인권선언’을 채택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채택된 이 선언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상세히 진술한 최초의 기록이자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넘어 소행성대(asteroid belt)까지 계속해서 날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화성에 인류를 정착시키기 위한 계획을 구상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빅 팰컨헤비 로켓(BFR)’도 설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팰컨헤비는 NASA의 차세대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이 완성될 때까지는 최고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어떤 물질을 다루는지는 그 시대의 생활수준을 알려주는 척도다. 다루는 물질로 인류의 역사를 나눠보면 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를 지나 철기시대를 넘어 현재는 플라스틱시대로 나눌 수 있다. 신소재도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석기시대에 등장한 청동기, 청동기시대에 등장한 철기처럼 ... ...
- Intro. 극지, 끝없는 프론티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국 극지 연구 30주년을 맞아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짚어보고, 앞으로 30년 동안 인류의 미래를 위해 해나갈 연구를 살펴봤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극지, 끝없는 프론티어Part 1. 숫자로 본 극지 연구 30년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INFOGRAPHIC] 한 눈에 ... ...
- [과학뉴스] 지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NASA)은 우주탐사선 ‘뉴호라이즌’이 인류 역사상 가장 먼 곳에서 촬영한 사진을 보내왔다고 2월 9일 밝혔다. 이 사진은 지구로부터 약 61억2000만km 떨어진, 태양계의 가장자리에 있는 카이퍼벨트에서 지난해 12월 5일 촬영됐다. 카이퍼벨트는 태양계 가장자리에 작은 천체들이 밀집해 있는 영역이다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추장님’의 100세를 기념해 이 말을 다시 한번 되새겨본다. “현재 우리는 앞으로 인류가 누릴 긴 역사를 시작하는 시점에 있습니다.” 마주 앉아 밥을 먹는 사람이 연이어 기침을 한다. 숟가락을 넣어 함께 먹던 찌개를 괜히 쳐다보게 된다. 감기가 아니라 감염성 눈병에 걸렸다면 어떨까. ...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국내 트렌드에 맞춰 편곡해 만들었다. 레이블 이름은 ‘A.I.M’으로 지었는데, ‘인류의 창작물(Art In Mankind)’과 ‘인공지능 음악(AI Music)’이라는 의미를 모두 갖고 있다. 쥬크덱은 웹사이트(www.jukedeck.com)를 통해 누구나 음악을 만들 수 있도록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포크, 팝, 락 등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인류가 탄생한 수백 만년 전부터 지금까지 풀지 못한 난제입니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명 현상을 분석하려고 노력해왔습니다. 1970년대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이 등장하면서 그 길이 열리는 듯 했습니다. 인간게놈지도가 완성됐고, 여러 생물의 유전체 정보가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