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몽골과 네팔 등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개들은 다른 곳에 살고 있는 개들이 갖고 있는
유전자
를 대부분 다 가지고 있었답니다. 연구팀은 중앙아시아에서 약 1만 5000년 전 고대 늑대가 개로 진화했으며, 여기서부터 다른 곳으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품종으로 진화했다고 결론내렸어요.사람과 친한 ... ...
[과학뉴스] 대대손손 빛을 잃은 초파리 “믿을 건 냄새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84종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초파리가 어둠 속에서 냄새를 이용해 짝짓기를 하는 데 이런
유전자
변형이 도움이 됐을 것으로 추론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G3(Genes Genomes Genetics)’ 2월 1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우울증·흡연중독은 네안데르탈인 탓?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유전자
들이 “과거엔 유리했던 형질”이라고 설명했다. 한 예로 혈액을 빨리 응고시키는
유전자
는 상처의 출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심장마비나 폐 색전증을 유발해 오늘날에는 득보다 실이 많다. 이 논문은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집단 선택으로 진화한 적응이라고 설명했다. 종의 보존을 위해 이 한 몸 쇠약하게 만드는
유전자
가 선택되었다고? 시쳇말로 멘붕에 빠진 윌리엄스는 속으로 중얼거렸다. “만약 이게 진화생물학의 전부라면, 차라리 다른 직업을 찾아보는 게 낫겠어. 자동차 보험 같은 거?”개체 선택론을 정립한 ... ...
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표현하고, 더 많이 비슷할수록 ‘유사도가 높다’라고 한답니다.유사도가 높다는 것은
유전자
가 어떤 물질에 대해 비슷한 반응을 보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해요. 따라서 유사도가 높은 동물로 실험할수록 사람이 같은 제품을 썼을 때 나타나는 증상을 최대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지요.동물들 ... ...
[과학뉴스] 아침형 인간의 타고난
유전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유전서열이 발견된 것이다.허 연구원은 “개인의 행동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생체리듬
유전자
가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며 “생활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질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월 2일자에 게재됐다 ... ...
[News & Issue] 무리한 교배, 애완견 생존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교수는 “몸집이나 털 색깔과 같은 애완견의 특성을 결정짓는
유전자
가 공교롭게도 질병
유전자
와 가까이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과 같은 교배는 유전적 병목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News & Issue]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일일이 확인해야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병원균의 내성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
만 감지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4500여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에는 99.1%, 결핵균에는 82.6%의 정확도로 적합한 항생제를 3분 만에 찾아냈다. 이크발 연구원은 현재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단계다(커피는 실험실에서 조직 배양이 어렵기로 악명 높은 식물이다). 최근에 각광받는
유전자
가위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는 맛있는 디카페인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박사학위 때부터 탈모에 집중해 20년 이상 한 우물만 파 왔고, 2010년에는 탈모를 일으키는
유전자
를 새로 발견하기도 했다. 인터넷 검색을 해 보면 알겠지만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마치 가발을 쓴 것처럼 어마어마한 머리숱을 자랑한다.그가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0월 23일자 온라인판에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