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천 가지 경우의 수를 따져 본 결과”라고 대답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이런 식으로 바둑을 ‘학습’할 수는 없다.누군가는 인공지능의 반대편에 베팅하지 말라고 했지만 필자는 이세돌의 승리를 바란다. 좀더 중립적으로 이번 대결을 즐길 독자들에겐 딥블루 개발팀의 이 말이 적절한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싸와 먹는다. 이때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개인이 자신의 점심시간을 마음대로 정해 식사를 한다는 것. 시간을 자율적으로 사용해 연구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그밖에도 아이가 아프거나 부모님이 편찮으실 때 병가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복지 제도가 탄탄하게 마련돼 있다. 이 ...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들고, 복잡한 다항식을 풀 수 있는 박사 과정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다항식을 이용해 나타냅니다. 저는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서 폴리노미오그래피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한국은 2014년과 2012년에 방문해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연했지요. 태극 문양의 작품을 ... ...
- [News & Issue] ‘알파벳’이 알려주는 약 제때 먹는 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구글 글래스 카메라로 먹는 음식을, 스마트폰 GPS로 식당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식이다.이번에 공개된 시스템은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유용할 전망이다. 특히 함께 공개된 혈당 측정용 스마트 콘택트렌즈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현재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되는 경우도 찾을 수 있을까요? 즉 학생수 N이 매우 클 때 시험장의 개수를 P에 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 묻는 겁니다.1985년 헝가리 수학자 언드라시 저르퍼시는 질문 2의 답이 무엇이든 간에 질문 1의 답만 ‘아니오’라면 N의 크기에 상관없이 P에 관한 어떤 함수만큼만 시험장을 준비하면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예정이라고 말했다. 물에서도 사라지지 않는 기름기, 수중 지문우리나라 경찰의 지문인식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게다가 전 국민의 지문이 데이터베이스화 돼 있는 나라는 흔치 않다. 헌데 육지와 달리 수중 증거물에서 지문을 찾는 기술은 아직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지문이 물에 들어가면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한 뼘 정도 떨어지게끔 6×6 대열로 모종을 심었다. 삽으로 갯벌을 살짝 들춰 모종을 꽂는 식이었다.이날 심은 모종은 약 1년이 지나면 듀공이 먹을 수 있을 만큼 자란다. 또 2년이 지나면 해초끼리 뿌리가 엉키면서 단단해지고 옆으로 점점 퍼지면서 숲을 이루게 된다.김민상 탐사대원은 “우리가 직접 ... ...
- [소프트웨어]신비로운 수,소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2의 배수를 소수 후보에서 제외시킵니다. 다음은 3의 배수, 그 다음은 5의 배수, 이런 식으로 수를 거르는 겁니다. 그러면 소수만 남게 되지요. 매우 단순하지만 확실하게 소수를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이번 기사에서는 엔트리로 소수를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예정입니다. 엔트리는 ... ...
- [소프트웨어]웰컴 투 게임카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새는 특정 지점으로부터 도착지까지 빠르게 직선으로 내리꽂히지요.이런 운동도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하나하나 계산하지 않아도 어느 지점에서 스크린을 눌러 운동을 변환시켜야 돼지 탑을 효율적으로 무너뜨릴 수 있을지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 단계별로 점점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보편적인 현상이다.이제 드디어 나비가 등장한다. 컴퓨터를 이용하면, 로렌츠방정식을 시간(t)에 따라 3차원 공간(위상공간) 안을 움직이는 점(x,y,z)의 연속적인 경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조절 변수 3개(σ,ρ,β)를 적당히 조절하면, 두 개의 나비날개와 닮은 모양을 얻을 수 있다. 바로 ‘로렌츠의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