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번 논문에서는 평면에 대해서만 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d차원 공간에 대해서도 같은 식의 정리를 증명했습니다. 이때 d=1이면 홀의 결혼정리이지요. 현재까지 이 증명은 위상수학을 이용한 것만 알려져 있습니다.이번 정리에서 함수 g가 작을수록 더 좋은 정리가 됩니다. 아직까지 더 좋은 함수 ...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있지요. 또 애완견은 예쁘고 귀여운 외모를 가진 품종이 오래 살아남고 또 자손을 번식하기가 쉬웠어요. 그래서 사람에게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귀여운 외모를 갖도록 진화했다는 주장도 있답니다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한 뼘 정도 떨어지게끔 6×6 대열로 모종을 심었다. 삽으로 갯벌을 살짝 들춰 모종을 꽂는 식이었다.이날 심은 모종은 약 1년이 지나면 듀공이 먹을 수 있을 만큼 자란다. 또 2년이 지나면 해초끼리 뿌리가 엉키면서 단단해지고 옆으로 점점 퍼지면서 숲을 이루게 된다.김민상 탐사대원은 “우리가 직접 ... ...
- [News & Issue] ‘알파벳’이 알려주는 약 제때 먹는 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구글 글래스 카메라로 먹는 음식을, 스마트폰 GPS로 식당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식이다.이번에 공개된 시스템은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유용할 전망이다. 특히 함께 공개된 혈당 측정용 스마트 콘택트렌즈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현재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예정이라고 말했다. 물에서도 사라지지 않는 기름기, 수중 지문우리나라 경찰의 지문인식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게다가 전 국민의 지문이 데이터베이스화 돼 있는 나라는 흔치 않다. 헌데 육지와 달리 수중 증거물에서 지문을 찾는 기술은 아직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지문이 물에 들어가면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되는 경우도 찾을 수 있을까요? 즉 학생수 N이 매우 클 때 시험장의 개수를 P에 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 묻는 겁니다.1985년 헝가리 수학자 언드라시 저르퍼시는 질문 2의 답이 무엇이든 간에 질문 1의 답만 ‘아니오’라면 N의 크기에 상관없이 P에 관한 어떤 함수만큼만 시험장을 준비하면 ...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들고, 복잡한 다항식을 풀 수 있는 박사 과정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다항식을 이용해 나타냅니다. 저는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서 폴리노미오그래피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한국은 2014년과 2012년에 방문해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연했지요. 태극 문양의 작품을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보편적인 현상이다.이제 드디어 나비가 등장한다. 컴퓨터를 이용하면, 로렌츠방정식을 시간(t)에 따라 3차원 공간(위상공간) 안을 움직이는 점(x,y,z)의 연속적인 경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조절 변수 3개(σ,ρ,β)를 적당히 조절하면, 두 개의 나비날개와 닮은 모양을 얻을 수 있다. 바로 ‘로렌츠의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슈퍼컴퓨터로 10조 개 이상의 영점이 일직선 위에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그러나 이런 방식으로는 리만 가설을 증명할 수 없다. 10조가 아니라 1000경 개를 구해도 무한을 넘어서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컴퓨터로 영점을 많이 구하면 리만 가설이 참이라는 근거가 된다. 수학자들은 101000개의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자랑스럽게 말할 날이 오면 좋겠어요. 독자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지식도 중요하지만 수학을 공부하면서 습득할 수 있는 논리력, 사고력, 인내심을 높게 쳐주는 분위기가 점점 퍼지고 있어요. 수리생물학자도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는 사람이잖아요? 수리생물학자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