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절"(으)로 총 2,2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은하수는 쇠똥구리의 네비게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없던 시절, 별은 방향을 알려 주는 유일한 길잡이였어요. 지금도 밤하늘의 북극성만 찾으면 바로 방향을 알 수 있지요. 그런데 곤충도 별을 길잡이로 삼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주인공은 커다란 똥을 굴리는 ‘쇠똥구리’예요.쇠똥구리는 아무리 캄캄한 밤에도 직선으로 제 갈 길을 찾아갈 수 ... ...
-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했던가! 사진과 글로만 접했던 ‘카오 야이 국립공원’이 눈앞에 펼쳐지고, 어린 시절 동화책에서 보던 동물들을 직접 만났을 때 탐사대의 눈빛은 분명 가장 빛났다. 태국의 생생한 경험이 꿈을 향한 걸음에 힘이 되길 바라본다 ... ...
- 유물위성과학동아 l2013년 03호
- 6년이나 걸렸는데, 아주 외로운 기간이었죠. 저는 우리 조상님들이 아직 유목민이던 시절, 저 초원에 홀로 외로이 세워놓은 비석에 새겨져 있던 위대한 빌게 카간의 비문을 자주 떠올리곤 했습니다. 그 글자들도 아마 빛이 났겠죠. 등대처럼 그렇게 외로이 서서 들판을 홀로 비추고 있었을 거예요. ... ...
- 범고래에게 송곳니만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있었지만 3000만 년 전부터 송곳니 생김새의 이빨만 화석에 남아있다. 이빨 모양은 태아 시절 턱에 분포하는 치아형성단백질인 FGF8과 BMP4에 의해 결정된다. FGF8은 턱 뒤쪽에서 표면이 넓적한 어금니를 만들고 BMP4는 턱뼈 앞에서 앞니나 송곳니처럼 날카로운 모양을 만든다. 이 단백질이 적절한 ... ...
- 재즈 피아니스트가 된 수학 영재, 고희안 교수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수학을 정말 좋아해서 고등학교 때 이과를 선택했고, 곧잘 했던 것 같아요. 수험생 시절에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수학 문제를 풀곤 했어요. 제가 깔끔하게 정리하는 걸 좋아하거든요. 수학 문제를 풀면 깔끔하게 정리되는 느낌이라 스트레스도 풀리더라고요.”그러다가 고2 때 처음 재즈를 접하고,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사랑의 작대기를 날린 것도 그래프인가요?오호~, MC 쌩유! 수학 좀 하는데…. 학창시절 배운 것도 기억하고!아하! 내가 그래프 이론에 대해 설명한다는 걸 깜박했구나. MC 쌩유의 말도 맞지만 꼭짓점과, 두 꼭짓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이루어진 그림도 그래프라고 하지. 사실 그래프 이론이라고 하면,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논리학자였으며, 2차 세계대전의 방향을 바꾼 경이로운 암호해독가였다.튜링은 어린 시절부터 수학적 엄밀함에 정통했고, 천재적 재능을 보였다. 16세에 아인슈타인의 논문을 읽고 즉시 이해했으며, 그 논문의 결과로 뉴턴 역학이 수정되어야 할 부분을 스스로 추론해 내었다고 한다. 물론 이 부분은 ... ...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퍼지기 시작했어요.중동의 페르시아 지역은 물론 아프리카 북부에도 퍼졌죠. 원래 야생 시절 원산지가 아프리카였는데, 작물로 변신해 다시 고향 땅을 밟은 심정이 어땠을지 참 궁금해집니다.그런데 유럽 얘기는 왜 안 하냐고요?사실 유럽의 나라들은 당시까지도 커피의 ‘커’자도 모르는 커피의 ... ...
- 애완용 늑대는 왜 없을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무엇 때문일까.케트린 로드 미국 매사추세츠대 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늑대가 어린 새끼 시절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사회화 시기가 감각이발달하는 시기와 어긋나기 때문에 길들일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개와는 달리 새끼 늑대는 오감이 어떤 순서로, 언제 발달하는지 지금까지 ...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택해야 했습니다. 빙하기가 꼭 춥기만 했던 것은 아닙니다. 변덕스럽게도 조금 따뜻한 시절도 있었습니다. 건조하거나, 반대로 비가 계속 쏟아지는 때도 있었습니다. 기후가 변하면 거기에 맞춰 동식물과 환경이 변했습니다. 지형도 바뀌었습니다. 바닷물의 높낮이가 달라져 섬이 육지가 되고 바다가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