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2020년에는 MBC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에서 7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소녀 ‘나연’이의 목소리를 재현하기도 했습니다. 제 목표는 성우, 아나운서 같은 전문 연기자처럼 말할 수 있는 AI를 만드는 것입니다. 현재 말을 하는 AI는 많지만 사람처럼, 특히 전문 연기자처럼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풍경이 바뀐다. 여러분이 익히 알고 있는 겨울 동화속 모습처럼 연못은 온데간데없고 온 세상을 눈이 소복이 덮고 있다.단순히 눈이 많이 왔기 때문만은 아니다. 연못 위로 내리는 눈은 단열효과가 뛰어나다. 그래서 연못 주변의 공기는 비교적 따뜻한 바닷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차갑게 유지될 수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 전자레인지로 속도 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데우는 기계입니다. 전자레인지를 ‘전자기파 뿜는 기계’로 활용해서 전자기파, 즉 세상에서 가장 빠르다는 ‘빛’의 속도를 재볼 겁니다. (가슴이 웅장해진다…!)파동의 속도는 진동수(주파수)와 파장의 곱과 같습니다. 전자기파도 파동이니 이 공식으로 속도를 구할 수 있죠. 전자레인지 속 ... ...
- AI 치우침을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대화형 AI ‘테이(Tay)’는 이 말을 내뱉으며 세상에 발을 디뎠다. 하지만 16시간 만에 다시 세상에서 자취를 감췄다.테이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위터 상에서 사람과의 대화를 목적으로 개발됐다. 단순히 질문에 정해진 답변을 하는 것을 넘어, 딥러닝이 적용돼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스스로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데 있다. 그러니까 ‘공정’이란 세상이 어떠하다는 사실적 주장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세상이 마땅히 어떠해야 한다는 규범적 주장과 관련됨을 알 수 있다.공정성이 규범적 개념이라고 인정해도 여전히 남는 문제가 있다. 규범적 개념은 하나의 층위로만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만약 여성 ... ...
- [특집] 미션3. 빛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 --- ···’가 되지요. 모스부호는 1844년 새뮤얼 모스와 알프레드 베일이 세상에 내놨어요.점(·)과 선(-)으로만 표현하는 모스부호의 원리는 숫자 0과 1만 이용해 수를 나타내는 이진법과 많이 닮았어요. 이진법은 컴퓨터에 쓰이는 수 체계이기도 합니다. 컴퓨터는 0과 1로 모든 명령을 ... ...
- [2021 소미더뭐니] 우승자에 소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클 수 있지만, 배양육이 우리의 일상 속에 빠르게 자리잡길 바라요. Q 배양육을 통해 세상이 달라질까요?배양육이 상용화되면 2040년 사육되는 소는 지금의 절반으로 줄 거예요. 소들은 넓은 들판에서 지내고, 인간은 대체육을 먹으며 공존하겠지요. 배양육은 기존 축산업이 가지고 있는 환경 오염,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무엇이든 잘해야 자신감이 생기고 좋아하기 마련이니까요. 그런데, 여러분! 수학은 원래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이에요! 자연과 우주 속 현상을 설명하는 것부터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분석하는 데까지 매우 폭넓게 수학이 쓰이거든요. 이번 호에서는 수학으로 사회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한 명씩 만나볼 예정입니다. 이번 주인공은 꾸준히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코너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스카이라임’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 부탁해요.안녕하세요. 서울시 강남구에 살고있는 서울도곡초등학교 6학년 채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평이 나왔다. 이런 학풍 덕분인지 실제로 KAIST는 참신하고 선도적인 연구와 기술을 세상에 많이 내놓고 있다. KAIST가 KAIST다움을 만들고, 지금까지 이어올 수 있었던 배경을 탐구해봤다. (KAIST답다: 특이하고 괴짜를 연상케 한다. 어느 하나에 몰두하면 헤어나오지 못하고 끝장을 본다. ) ● 1호 박사가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