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시공간을 지나면서 휘어져 관측자에게 도달하게 되지요. 그럼 두 별의 빛이 더해져 빛의 세기가 증가해요. 이때 앞쪽별에 행성이 있으면 빛의 증가가 불규칙적으로 일어나요. 연구팀은 이 변화를 분석해 외계행성의 존재를 알아낸답니다. KMTNet은 2015년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 ...
- 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관련이 있다. 협공으로 깨부숴버린 추측과연 오일러가 만든 추측은 강력했다. 한 세기가 지나도 입증하거나 혹은 반례를 찾아낸 사람이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게 오일러는 끝판왕의 자리를 지키는 듯 했다. 그런데 약 200년이 지난 1966년, 도전자가 나타났다. 주인공은 토마스 파킨과 레옹 ... ...
- 수학동아 단독 특별전시회, 수학으로 피운 꽃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입니다. 규칙성을 찾고 가장 이상적인 균형을 표현하기 위해서죠. 무라야마는 19세기 스코틀랜드의 수학자이자 생물학자인 다아시 톰프슨에게서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톰프슨은 진화를 수학으로 설명하려던 학자지요. 수학의 언어와 법칙이야말로 생물의 다양성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는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현재 아이스큐브 연구팀은 박 교수의 이론을 토대로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다. 20세기 초반 시작된 표준모형 연구는 2012년 힉스 발견으로 일단락됐다. 일각에서는 이론가들의 시대가 저무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하지만 박 교수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인공위성 기술과 가속기 기술이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지문을 구별하는 방법을 개발해 1880년 논문으로 출판했답니다. 20세기 초반부터 지문을 이용해 수많은 범인을 잡았어요. 이후 지문 인식 기술은 점점 발전해서 현재는 과학수사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금융 결제, 출입문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답니다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말했다. 수학 올림피아드 단일팀 가능할까? 수학은 남과 북이 해방된 이후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교류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주요 연구분야가 서로 다르다. 우리나라는 순수수학에 집중한 반면, 북한은 순수수학 분야는 거의 연구하지 않고 전력, 석탄, 금속, 철도운수 같은 현장에서 생기는 ... ...
- [수학공작실] 정십이면체 플라워볼 달력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피타고라스가 사면체, 육면체, 십이면체에만 능했다고 기록돼 있어 신뢰하기 어렵다. 16세기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케플러는 지구 밖 5개의 행성과 플라톤 다면체의 관계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훗날 케플러는 행성의 궤도가 원이 아니라 타원이라는 사실을 밝혀냈고, 케플러의 법칙을 발견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문제를 확인할때 사용하는 엑스레이(X-ray)는 감마선의 일종이지요. 한편 방사선의 세기, 혹은 전자기파나 입자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의 성질을 ‘방사능’이라고 한답니다. 음료수가 가득 찬 컵에 한두 방울을 더 떨어뜨려도 음료수는 넘치지 않아요. 대신 표면이 동그란 언덕 모양을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중국이 원산지인 장미의 일종으로 ‘중국 장미’로도 불린다. 국제 무역을 통해 18세기 유럽에 소개됐으며, 장미 중 전 세계에서 품종 개량이 가장 많이 된 종(種)이다. 연구팀은 8년간 월계화의 유전정보를 최신 해독 기술인 ‘염색체 형태 포착(Hi-C)’으로 분석했다. Hi-C는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국 딸기도 뿌리는 일본”이라고 말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실제로 한국 딸기는 20세기 초 일본에서 처음 들여왔다. 하지만 로열티 지급 부담이 늘면서 2005년부터 국산 품종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5% 수준이던 국산딸기 점유율이 현재 93.5%까지 늘었다. 일본 국가대표 컬링팀이 먹은 딸기는 2월에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