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평
평론
비난
논평
비평문
d라이브러리
"
비판
"(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3의 의학이 생겨날 것인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결점과 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동양의학의 경우 서양의학자에 의하여 지적되고
비판
되는 결점이나 약점을 제대로 인식하지 않는 것은 동양의학에 있어서 치명적인 결점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그 한 예로서 동양의학자들이 흔히 갖고 있는 '동양의학을 과학화하면 그 장점이 소실된다'는 ... ...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인종주의라는 비난의 표적이 되고 있다. 한편 분자생물학자들에 대한 가장 신랄한
비판
가의 하나로 꼽히는 미시간대학의 고고인류학자 '월포드'는 아프리카에서 나온 '이브'의 후손이 그 지역의 다른 인류와 혼혈을 이루지 않았다는데 찬동할 수 없다며, 여러갈래의 인류의 조상들이 서로 복잡한 ... ...
젊은 과학도들이 일으키는 신선한 바람 엘리트로 자족해선 안된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예정. 특히 이들은 낭만적인 비과학론이나 문명
비판
론, 그리고 관념적인 민중과학론을
비판
하면서, 과학기술자를 '과학기술노동자'로 규정한 '과학기술노동운동론'을 펴 주목을 끌고 있다. 「과학기술 노조시대」의 도래 최근의 노동조합결성의 분위기를 타고 과학기술자와 전문 연구원들이 ... ...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많기 때문이죠"라고 설명한다. 글래쇼는 미국의 과학기술과 이공계교육에 대해 매우
비판
적이다. 그는 "우리들, 현재 기술사회에 살고 있고 사람들은 첨단기술의 혜택을 흠뻑 받고 있으나 일반대중은 기술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 미국은 한때 산업기술의 중심이었으나 이제 많은 산업이 어려운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가지고 있는 지나친 낙관주의와 과장된 주장, 컴퓨터의 능력에 대한 주장들을
비판
한다. 그들은 1970년대의 인공 지능에 대한 과장된 보도를 기억하고 있고, 로스 알라모스 회의에서도 '하이만 하트만' 박사가 맹목적으로 컴퓨터 모델에 의존하는 것에 대해 경고하였다. 자신의 뒤에 있는 대형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스스로 대학을 창조하는 기분으로 과학기술대를 바라보는 일반인들의 시선 중 가장
비판
적인 시각은 '전문지식은 많이 습득할 수 있을지언정 대학인으로 갖추어야할 건전한 사회의식이 어떻게 습득할 수 있을지언정 대학인으로 갖추어야할 건전한 사회의식이 어떻게 습득될 수 있을까'하는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연금술 사상은 점차 후퇴하였다. 그것은 당시 자연철학자들이 연금술 상에 대하여
비판
적이고 이를 천하게 여겼던 까닭이었다. 연금술사들의 마음속에 강하게 뿌리박고 있었던 사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원소관이었다. 그는 우주의 근본물질은 4개의 원소 즉 흙 물 공기 불이라 주장하였다. 그리고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놀아 나는 것 아니냐"며 매스컴의 비현실적 외국의존적 경향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
한다.우리도 한번 노벨상에 도전해야지 않느냐는 질문에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다만 노벨상을 받을 만한 업적을 낸 사람, 그런 연구를 하고 있는 사람을 주위에서 도와주는 수밖에 ... ...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10억분의 1)를 지향하고 있다.'작은 것이 아름답다.' 이것은 현대의 에너지 다소비 사회를
비판
한 '슈마하'의 책 제목이지만, 그대로 초정밀을 추구하는 첨단과학기술계의 금언이기도 하다.10억분의 1m의 세계정밀한 세계를 묘사하는 단위로 우리에게 익숙한 μ(미크론)은 1천분은 1mm를 나타낸다. 1μ를 ... ...
미국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로잘린 얄로우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것이라고 했다. 그녀는 과학자들 중에도 맹점은 있다고 시인하면서 예컨대 퀴리부인을
비판
한 일이 있다. 그녀는 퀴리부인이 방사선을 너무 쬐면 건강을 해치고 심하면 죽음에 이른다는 사실을 믿으려고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만약에 퀴리부인이 방사선을 위험한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자기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