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양
도안
모양
도형
본
의장
반점
d라이브러리
"
무늬
"(으)로 총 1,286건 검색되었습니다.
떡국 만든 로봇 '떡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같다면 설거지 통 속에 담긴 그릇 중에서 진품 그릇은 과연 어떤 것일까? 그릇에 새겨진
무늬
와 색깔, 그리고 모양을 잘 살펴보면 알아 낼 수 있는 문제다.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잘 관찰 해서 마을 사람들에게 진품 그릇을 찾아 주도록 하자. 썰렁 홈즈의 정답 첫 번째 문제의 정답서로 맞물려 ... ...
이래도 위조할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무늬
를 빛에 비춰보면 태극
무늬
가 보인다. 앞과 뒷면에 있는동그라미가 합쳐져 태극
무늬
를 만든다.4. 볼록인쇄 _ 앞면 율곡 이이 초상과 뒷면 수박 그림, 문자와 숫자는 볼록인쇄를 해만져보면 오돌토돌하다.5. 숨은막대 _ 지폐 가운데 부분을 빛에 비춰보면 가로로 된 숨은 막대 3개가 나타난다.6.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큰 평볼록렌즈의 볼록면을 유리 평면 위에 놓을 때 볼 수 있는 고리 모양의 간섭
무늬
R 후크가 1665년에 관측하고 후에 I 뉴튼이 고리의 반지름을 정밀하게 측정했다 한결같은 흐름 속에 있는 물체에는 유속 V의 제곱과 밀도 에 비례하는 저항이 작용한다는 법칙 유체가 수많은 미립자로 이루어져 그들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피부색은 공룡을 그리는 사람들의 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울긋불긋 화려한 줄
무늬
공룡이나 주변의 색과 비슷한 색깔로 그려진 공룡의 피부색은 모두 화가가 만들어 낸 색깔이지요. 지금까지 화석을 통해 알려진 공룡은 900여 종류가 넘어요. 이 많은 종류의 공룡들은 분명히 저마다의 독특한 ... ...
과학은 최고의 명탐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알아 내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지문은 최고의 증거손가락 끝마디에 있는
무늬
인 지문은 사람마다 다 틀립니다. 또한 지문은 평생 변하지 않습니다. 이런 지문의 특징은 과학 수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건 현장에서 지문만 채취해도 범인이 누구인지 밝혀내는 것은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죽을 수도 있거든요.*가장 긴 뱀, 징그럽다고?!세상에서 가장 긴 몸을 자랑하는 그물
무늬
비단뱀. 몸 길이는 6~10m이고 몸무게는 200㎏ 정도야. 가끔 배가 고프면 사람도 잡아먹는단다. 나보다 길이는 더 짧지만 몸무게가 50㎏ 더 나가는 아나콘다 녀석은 영화에 출연한 뒤 로 유명해져서 얼굴 보기도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달의 바다가 앞면은 31.2%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뒷면에는 2.6%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무늬
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또한 달의 뒷면에는 수많은 크레이터로 구멍이 숭숭 나 있답니다. 우리가 보지 못하는 면이기 때문에 달의 뒷면은 더 많은 궁금증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킵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달의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약 10시간에 한 번 자전한답니다. 그래서 목성은 공 모양이 아니라 타원 모양으로 찌그러져 있고 줄
무늬
도 뚜렷합니다. 그리고 대적반이라고 하는, 지구보다 훨씬 큰 점이 있는데 이것은 일종의 허리케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날아가는 나비와 왱왱 바빠 보이는 벌들이 꽃 사이를 날고 있어요. 여기 범부채와 비슷한
무늬
의 나비가 보이네요. 아마 범부채의 바람을 타고 날아왔나 봐요. 아~, 흰줄표범나비예요. 노란 금불초에 앉아 있을 때는 금방 눈에 띄지만 범부채에 앉으면 누가 꽃이고 누가 나비인지 분간하기 힘들겠죠?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결합부위(B-Z junction)가 나타난다. DNA의 구조를 알려면 결정으로 만들어 X선으로 사진(회절
무늬
)을 찍어야 한다. 그러나 생성 조건이 다른 B와 Z형을 한 DNA 분자에서 동시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특히 불안정한 Z형이 문제였다. 홀리데이 결합부위(holiday junction)나 네가닥 DNA, 나선이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