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인이 봐도 기발한 자동판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판별할 수 있다. 플라스틱 같은 부도체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동전의 크기,
두께
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액수까지 알아 낼 수 있다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식생활용품을 보급하지 않고도 70일 간 약 2만해리(3만7000㎞)를 항해할 수 있다. 또 1m
두께
로 수면 위에 평탄하게 깔려 있는 얼음을 3노트(1노트=1.852km/h) 정도로 계속해서 깨며 항해할 수 있다. 최고 속도는 약 15노트. 최고 속도가 17~20노트인 일반 상선에 비하면 조금 느린 편이다.또한 첨단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전기발광소자를 이용하면 둘둘 말아서 갖고 다닐 수 있는 TV나 모니터도 개발할 수 있다.
두께
가 얇기 때문에 마음대로 구기거나 접어도 되는 전자종이도 곧 현실로 다가온다.지난 2002년 전광판으로 월드컵 중계를 지켜본 사람들은 멀리서도 경기를 생생히 관전할 수 있었다. 발광다이오드(LED)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따라 상승하여 이를 밀어올려서 생기는 반구형 지붕 모양의 구조이다 길이 또는
두께
의 측정량을 지침의 회전으로 바꿔 눈금판에서 읽도록 만든 계기 스핀들형에서는 돌출한 스핀들의 끝을 측정하려는 물체에 접촉시켜 그 변위를 랙(rack)과 피니언(pinion) 및 평톱니바퀴를 써서 지침의 회전으로 ... ...
김희선이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대한 절대적인 정의는 변하지 않는다. 얼굴의 가로 세로 비율부터 눈 크기, 입술
두께
, 손, 발, 피부까지 ‘자로 잰 미인’의 기준이 존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그런데 아름다움과 인기가 늘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한류 스타 중에도 일본에서 인기 있는 이가 있는가 하면 중국이나 대만, 베트남 ... ...
갓 지은 쌀밥보다 맛난 것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두께
를 바닥에 비해 절반 정도로 얇게 만들어 열이 고루 전달되게 하였습니다. 만약
두께
가 다 똑같다면 직접 화력을 받는 바닥에 비해 위쪽은 덜 뜨거워지니까요. 그리고 전체 무게의 3분의 1을 차지할 만큼 무거운 뚜껑은 공기나 수증기가 새나가지 않게 해 줘서 밥알 속까지 고루 익게 하지요.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되는데요. 바로 이런 속도 차이 때문에 굴절이 일어나는 것이죠. 또한 빛은 렌즈의
두께
가 두꺼운 쪽으로 굴절한답니다. 그래서 볼록 렌즈를 통과 할 때는 가장 렌즈가 두꺼운 중심으로 빛이 굴절해 빛이 모이게 되는 것이죠.따뜻한 담요를 덮어 주었는데 잘 녹지 않았어. 왜일까?겨울에도 담요를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촉감 등이 종이처럼 느껴지므로 나일론 페이퍼라고 한다뜨는 방법에 따라 제품의
두께
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과자 등의 포장지 · 여과 필터 · 절연체 등에 주로 사용된다 기계적 · 화학적 성질이 뛰어난 나일론을 재료로 만든 플라스틱 나일론은 합성섬유로서도 여러 가지 뛰어난 성질을 가지고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원래 에너지를 역추적해내기도 한다. 칼로리미터는 바로 이 과정을 축소해낸 장비다. 10cm
두께
의 텅스텐 20여장을 장착해 우주입자가 40km 대기층을 통과할 때와 같은 효과를 만들어낸다. 우주입자가 깨지면서 발생하는 빛 에너지의 1%를 얻어 계산하면 입자의 원래 에너지를 추정할 수 있다. 현재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으킨 헬리코박터헬리코박터가 어떻게 위 속에서 살 수 있을까.헬리코박터는 약 2mm
두께
의 위 점액층 내부에 살고 있다. 위산이 점액층을 뚫고 들어가기 어려워 헬리코박터가 안전하게 살 수 있다. 또 헬리코박터는 요소분해효소를 몸 밖으로 내보낸다. 이 효소가 위점액 속에 들어 있는 요소를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