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후 약 10시간 뒤 지구에 도착했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월 28일자에는 이들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 세 편이 나란히 실렸다. 윌리엄 매티넌 미국 워싱턴대 지구및행성과학과 교수팀은 아로코스의 표면을 분석한 결과 타원형의 두 미행성이 매우 부드럽고 천천히 조우해 아로코스가 형성됐다고 ...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브가 칼라하리 지역에서 발생했음을 확인한 것”이라며 “유전적 데이터와 고기후 데이터를 결합한 통계적 접근법이 인류의 기원을 연구하는 데 효과적임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슈퍼컴퓨터로 기후변화 모델링 기후물리연구단은 향후 대전 IBS 본원에서 ... ...
- [DGIST]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많이 만능 AI 프로세서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다수의 메모리층과 1개의 로직층으로 나뉜다. 메모리와 메모리 사이는 와이어로 연결해 데이터를 이동시켜 전송속도를 높인다. 이때 HBM 가장 아래층에는 메모리 대신 컨트롤러 같은 부수적인 칩만 일부 배치된다. 쓰지 않고 비어있는 공간이 많다는 뜻이다. 궁 교수는 AI 연산을 수행할 논리 회로를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생체음향을 측정한 뒤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 전기신호가 개인의 고유 식별 데이터가 된다. 안 책임연구원은 “소리라는 자극을 준 뒤 몸에서 전달되면서 생기는 소리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점에서는 병원의 초음파 검사와 원리가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5만6000여 건의 생체음향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1년간 국민신문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언론매체에 실린 데이터 약 171만 건을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 ‘지역 특성에 맞는 에너지 기술 개발’이 대표적인 국민과학기술정서 중 하나로 도출됐다. 정부는 이런 분석을 실제 충북 진천에 들어서는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에 반영했다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반복합니다. 그래비티 스파이 운영진은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으로 라이고의 관측 데이터를 최대한 깨끗하게 만들면 중력파의 비밀을 밝히는 데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수학뉴스] 전국 곳곳에 부는 AI 교육 바람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신입생을 대상으로 2023년까지 전체 교과 수업의 15% 범위 안에서 정보과학, 프로그램, 빅데이터 분석, AI 수학 등의 AI 관련 수업을 합니다. 또 주변 학교 학생도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학생뿐 아니라 교사의 지도 역량을 높이기 위해 여름·겨울 방학 연수를 ... ...
- 주문 즉시 배송 완료! 매스캣, 핵배송을 부탁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리모델링![핵배송 비결3] 최고의 배송 경로를 찾아라! ※도움. 김명환(메쉬 코리아 데이터 사이언스 총괄 ) , 신광섭 (인천대학교 동북아 물류대학원 교수), 송상화(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 ... ...
- [핵배송 비결1] 고객데이터로 주문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생활용품부터 도서, 화장품, 신선 식품,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온라인으로 1억 개가 넘는 물건을 판매하는 산타마켓은 3단계를 거쳐 고객에게 물건을 배송합니다. 첫 번 ... 도와주죠.데이터가 많을수록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법이니, 시간 날 때마다 고객들의 데이터를 주워 담읍시다 ... ...
- “인공지능은 이미 여러분 옆에 와 있습니다” 김정호 KAIST ICT 석좌교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속도는 컴퓨터와 USB가 주고받는 것보다 100배 이상 빠르다”고 말했다. 이런 HBM은 수많은 데이터 학습이 필요한 AI에 사용되기 때문에 AI 반도체라고도 불린다.과학동아 AI 보드 어드바이저를 맡은 김 교수는 “미래사회는 분명 지금보다 AI 기술의 영향력이 클 것”이라며 “AI가 이미 현실에 와있다는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