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d라이브러리
"
다리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연구되고 있어요. 실제로 2012년 12월,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앤드류 슈왈츠 교수팀은 팔과
다리
를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로봇팔을 만들었어요.연구팀은 오른팔과 오른손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뇌의 영역에 가로 세로 6mm 크기의 전극 2개를 심었어요. 그리고는 환자에게 팔의 다양한 움직임을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떠올릴 수 있다면 더 깊은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두 은하는 가스로 이뤄진 마젤란
다리
(Magellanic Bridge)로 연결돼 있다. 또 소마젤란은하 뒤쪽 방향으로 가스의 흐름(마젤란 흐름)이 길게 이어져 있다. 이 흐름의 기원은 25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두 은하는 서로 충돌할 뻔 했는데, 그 ... ...
“실제 사람
다리
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시신을 자연적으로 건조시켜 미라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기증받은 시신의 반대쪽
다리
는 건조 방법으로 실험하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수분을 빨리 제거하지 못해 부패가 시작됐다. 일주일 만에 실험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Q 앞으로는 어떤 연구를 할 계획인가A 오랫동안 인류학 관점에서 인간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참새 같은 새들이 박씨를 발견했다면 떨어뜨리지 않고 맛있게 먹었을 거예요. 흥부가
다리
를 고쳐 준 새가 제비였다는 사실이 정말 다행이죠?제비, 알고 보면 사람을 이용한다고?제비는 ‘ㅁ’ 자 또는 ‘ㄱ’ 자 모양의 전통가옥에 둥지틀기를 좋아해요. 마당 위로 뚫린 공간을 통해 둥지를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소녀의 모습이 검게 실루엣으로만 그려져 어떤
다리
가 오른쪽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중의적인 그림 알아채는 데 약 0.34초지난 2012년 3월 독일의 정신건강의학프론티어영역기관의 위르겐 코른마이어와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의과대학 안과전문의인 미하엘 바흐 박사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막혀 7점에 그쳤다. 3위인 타르탄 레스큐의 로봇 ‘침프’는 두 팔을 달고 있지만 팔
다리
에 무한궤도(캐터필러)를 달아 탱크처럼 굴러서 이동한다. 넘어질 우려가 적고 튼튼하지만 굼뜨고 무거운 것이 단점이었다. 오준호 교수는 “이런 로봇들은 모두 휴보에 비해 훨씬 많은 연구비를 투입해 개발한 ... ...
우주에서 허드렛일 하는 로봇, NASA 최고의 발명품 뽑혀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7개의 관절로 이뤄졌고 길이가 2.5m다. NASA 존슨우주센터 론 디프틀러 박사는 “R2에 두
다리
를 부착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우주유영 등 여러 가지 위험하고 힘든 일을 R2가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탐사용 게 로봇 ‘크랩스터 CR200’이다(왼쪽 위 사진, 과학동아 6월호 참조). 크랩스터는
다리
여섯 개로 몸을 지지해 초속 1m의 빠른 유속에도 버티면서 작업할 수 있다.세월호 인양에 크랩스터를 참여시킬 수 있을까. 유승열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수중로봇연구실 박사는 “불가능하진 않지만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시원한 쾌감을 느낄 수 있다. 사람도 긁고, 강아지나 원숭이도 긁는다. 그렇다면 손과
다리
가 있는 동물들만 가려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일까? 전문가들은 신경계통이 발달돼 있는 동물이라면 가려움을 느낄 수 있을 거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동물들은 신경이 발달돼 있어도 사람처럼 말을 할 수 없기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바꿔놓기도 해요. 얕은 바다에서 살던 해양 생물은 하루 아침에 살 곳을 잃어버리니까요.
다리
로 섬을 지탱하거나, 둥둥 띄워도 섬 아래쪽은 햇빛이 들지 않게 돼요. 그 결과 광합성을 하고 살아가던 해양 식물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요. 전문가들은 인공섬을 만들 때 환경에 미칠 영향을 반드시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