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개구리 합창, 일정한 법칙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설명했어. 일리 : ‘무리 지능’이 뭐야? 청개구리 : 여럿이 모이면 나타나는 능력을 말해. 예를 들어, 흰개미 한 마리는 혼자 집을 지을 수 없어. 하지만 수만 마리가 모이면 서로 협력해 탑과 같은 멋진 집을 만들고 살아간단다. 191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곤충학자 윌리엄 윌러가 개미 군락의 ... ...
- 전지훈련. 선수 맞춤식 데이터로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수비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웬만한 타구는 수비진의 빠른 타구 위치 판단 능력과 송구 능력에 속수무책으로 잡힌다. 여기에 극단적인 수비 위치 이동은 타자들의 손을 꽁꽁 묶어 버린다. 이에 공을 외야 펜스 밖으로 넘겨버리자는 대책이 나왔고, 그렇게 선수들은 발사 각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훈련을 ... ...
- 시범경기. 상대의 허를 찌르는 전략 뒤에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주자를 내보낼 확률이 0.580인 반면, 주자가 있으면 0.690, 주자가 득점권에 나가면 0.900로 ‘능력은 뛰어나나 새가슴 투수’라 점수를 지키는 역할은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스태닉을 선발로 내보내면 주자가 없을 때 공을 던지므로 좋은 공을 던질 확률이 더 높았다. 보통 중간계투는 선발 투수가 수세에 ... ...
- 이상엽|국제학술지, 경제, 중국...글로벌 파워를 뿜어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문제를 찾아서 좋은 논문을 쓰는 것은 기본이고, 그것을 국제 학회 등에서 잘 알리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발표를 통해 좋은 인상을 남겨야 또 다른 기회가 찾아오며, 그를 통해 국제적인 신뢰를 쌓아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커뮤니케이션 영역을 중국으로까지 넓혔다. ... ...
- [에디터노트] 7,400 그리고 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12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018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들은 커서 운동선수가 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9.8%), 이어서 교사(8.7%), 의사(5.1%), 요리사(4.9%) 순이었다. 5위는 ‘유튜버(인터넷방송 진행자·4.5%)’가 차지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꿈은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투구게의 혈액에는 사람의 혈액에 없는 특수한 능력이 한 가지 있다. 바로 박테리아 검출 능력이다. 투구게의 푸른 피는 박테리아에 노출될 경우 해당 부분이 굳어버리는데, 이는 다른 생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특출한 질병 방어 수단이다.과학자들은 투구게 혈액의 이런 성질을 이용해 물질 속에 ... ...
- 정재승|재밌는 과학, 따뜻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재미있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대중에게 열린 과학으로 다가가는 그의 놀라운 소통 능력이 또 한 번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미술관이야? 연구실이야?’ 3월 16일 대전 KAIST에 있는 정재승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의 방에 들어섰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커다란 그림들이었다. 한쪽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인간은 팔과 손을 이용해서 다양한 도구를 만들어 내고 또 그 도구를 사용해서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우리는 자동차로 치타보다 빨리 달릴 수 있고, 잠수함으로 바닷속을 탐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성에 로봇을 보내서 화성의 상황을 스크린으로 확인하는 존재가 됐습니다. 두 다리 ...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된 수준 높은 과제들을 해결하면서 디버깅, 포인터 등을 다루는 능력이 엄청나게 향상돼 뿌듯했다.하지만 가장 인상적인 수업을 꼽으라면 뭐니 뭐니 해도 2학년 때 필수로 들어야 했던 발표 수업이었다. 발표 수업도 종류가 굉장히 많아서 우선순위를 제출해서 원하는 수업을 ... ...
- [가상인터뷰] 똑똑한 앵무새가 더 매력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특별한 유전자 3개 덕분이지. 이 유전자는 다른 종의 발성을 배우고 따라 하는 발성학습 능력과 관계가 있어. 지난 2014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김희발 교수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조류들의 유전자 8000여 개를 분석한 결과지. 일리 : 아, 이제 너의 이상형을 말해줘~. 사랑앵무 : 난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