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향기
악취
방향
혹취
내음
향
냄새감각
d라이브러리
"
냄새
"(으)로 총 1,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희망을 준다. 같은 원리로 인공귀는 소리를 전자신호로 바꿔 뇌에 전달한다.
냄새
를 맡고 맛을 느끼는 인공코와 인공혀도 한창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전신마비 환자들은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마지막 희망을 사이보그 기술에서 찾는다. 원리는 이렇다. 전신마비 환자가 ... ...
내 뱃속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특제 된장찌개. 나를 유혹하는 음식들…. 먹을 때는 맛있었다. 군침이 돌게 만드는
냄새
도 좋았다. 두둑한 포만감에 배 두들기면서 살며시 눈을 감으면 세상에 부러울 것이 없었다. 하지만 다음날 아랫배가 무거워져 들른 화장실에서 난 호기심을 억누를 수 없었다. 어제 먹은 음식은 간 데 없고 웬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없다.건강한 똥을 위한 나의 하루지금까지 나의 똥이 어떤 모양이고 색깔은 어떤지,
냄새
는 심하지 않은지 살펴보았다. 똥을 잘 누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임을 알았다면 이제부터 최고급 똥을 누기 위해 조금만 더 노력하자. 변기의 물을 내리면서 얼굴에는 행복한 미소가 떠오르고 몸은 날아갈 듯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후각은 쉽게 피곤해 지기 때문에 왼쪽·오른쪽 콧구멍이 약 2시간마다 교대로
냄새
기능을 유지합니다. 또한 왼쪽 콧구멍은 왼쪽 허파와, 오른쪽 콧구멍은 오른쪽 허파와 서로 짝을 이뤄 호흡 활동을 한답니다.허파콧구멍이 2시 간마다 일을 하듯이 콧구멍과 연결된 허파도 약 2시간 단위로 오른쪽 ... ...
분자는 움직이는거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습도가 낮아야 한다.물에 잉크를 떨어뜨리면 사방으로 퍼져 나가고 멀리서 굽는 고기
냄새
를 맡을 수 있는 이유는 확산 때문이다. 물질을 이루는 분자들이 진동하며 기체나 액체 속으로 퍼져 나가는데 액체보다는 기체에서 더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 즉, 분자의 운동이 자유로울수록 확산이 잘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나오는 미약한 전류를 감지하는 로렌치니기관이라는 특수한 감각기관이 있어 보거나
냄새
를 맡지 않아도 먹이를 찾아 낼 수 있다. 또한 피부전체에 피부치라는 것이 있어 몸통 자체가 공격무기가 된다. 상어야 말로 강력한 이빨에 온몸이 공격무기인 최고의 동물이다. 상어를 세 번째 어과동 ... ...
향기로운 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아직 성장기의 친구들은 너무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 되도록 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3 발
냄새
없애기① 가능한 뽀송뽀송한 발을 만드는 것이 좋아요. 잘 씻고 잘 말리고 통풍이 잘되는 신발을 신으세요. 젖은 신발은 신지 않도록 하고 양말은 자주 갈아 신는 것이 좋아요.② 항균 비누를 이용해 발을 ...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노틸러스호는 다시 순조로운 항해를 시작했지.모모 선장의 보물 지도심해 : 참기름
냄새
솔솔~! 바싹바싹 구운 김 없이 나는 못 살아!모모 : 바다에서 나는 건 김이나 미역, 생선만이 아니야. 내가 바다를 탐험하며 발견한 진짜 보물들을 보여 줄게.불타는 얼음, 메탄하이드레이트모모 : 활활 불타는 ... ...
분단을 뛰어넘는 두루미 사랑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43번 국도를 타고 북쪽으로 달리다보면 더 이상 갈 수 없는 분단된 한반도 허리인 철원(鐵原)에 다다른다.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고인돌은 이 ... 노을로 날아가는 두루미 가족을 향한다. 분단을 뛰어넘는 두루미에 대한 사랑은 흙
냄새
나는 농사꾼의 가슴 속에, 그리고 사진 속에 영원히 남는다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애니멀동물의 눈에는 어떻게 보일까?2억 개의 후각세포를 가진 개는 사람보다 100만 배나
냄새
를 잘 맡는다. 그렇다면 개의 시각은 어떨까? 커다랗고 맑은 개의 눈을 보면 시력도 좋을 것 같지만 그 반대다. 개의 눈은 색맹에 가까우며 지독한 근시다. 게다가 색깔을 느끼는 원추세포가 매우 적어 개가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