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꽁지
뒤꽁무니
꽁무니
숨바꼭질
술래잡기
태그
술레잡기
d라이브러리
"
꼬리
"(으)로 총 1,495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4. 앳된 얼굴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이 앳된 얼굴을 하고 있다면 그것은 마치 버겁지만 길고 아름다운
꼬리
를 쫙 펴서 암컷을 유혹하는 수컷 공작의 깃털과도 같다. 즉 수컷 공작의 깃털이나 앳된 여성의 얼굴은 모두 값비싼 신호로 이성을 유혹하고 있는 셈이다.한편 앳된 여성을 남성이 좋아했듯이 여성도 그런 ... ...
태권V 로켓주먹 발사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가장 큰 문제는 태권V 로켓주먹이 날아가는 방향을 바꿔야 하는 데 있다. 항공기는
꼬리
날개에 방향타가 있어 비행 방향을 바꿀 수 있지만 로켓주먹에는 날개가 없어 그럴 수 없다. 대신 로켓주먹의 비행 방향을 바꾸려면 가스를 뿜는 분출구(노즐)의 방향을 직접 조절해야 한다. 현재 이런 방식은 F-22 ... ...
우주서 빙글빙글 초대형 바람개비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숲에 침범한 것에 몹시 화가 났던 모양이다. 숲의 대왕은 긴 가지를 팔처럼 뻗어 곰의
꼬리
를 잡더니 빙빙 돌리다가 하늘로 냅다 내던졌다. 곰은 밤하늘의 별자리가 됐다.숲의 대왕이 얼마나 힘껏 던졌는지 큰곰자리는 지금도 북쪽하늘을 빙글빙글 돌고 있다고 한다. 큰곰자리에 바람개비처럼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천문단위)로 계산된 다시 돌아오지 않는 혜성이다
꼬리
의 겉보기 길이는 수도에 달했으며
꼬리
모양의 변화가 컸던 것으로 유명하다 결정의 하나 실제로 결정은 이상적인 결정과는 달리 약간 불완전성이 있는데, X선의 반사세기 측정 등에 의해 결정 내부의 넓은 부위에 걸쳐 원자배열이 ... ...
병술년 개띠해, 로봇 강아지를 키워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골격과 유사하게 제작됐다. 다만 개는
꼬리
의 움직임으로 감정을 표현하는데 로보펫은
꼬리
가 없다는 점이 다소 아쉽다. 로보펫은 로보랩터, 로보사피엔V2에 이어 와우위에서 만든 세 번째 지능형 로봇완구다. 로보랩터는 백악기 공룡인 벨로시랩터를 모델로 한 로봇이고, 로보사피엔V2은 인간형 두 ... ...
베일 벗은 영국 무인전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코렉스는 레이더에 걸리지 않는 스텔스 전투기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설계됐다. 또
꼬리
날개가 없어 훨씬 동역학적으로 비행할수 있지만 조정은 더욱 까다로워졌다.군사잡지 ‘제인의 국제방어리뷰’ 편집자 빌 스위트만은 “코렉스는 더 큰 스파이 비행기와 닮았지만 날개가 짧다”며 “더 높이,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지금까지 선진국에서 개발된 로봇물고기는 대부분 몸통이 두세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꼬리
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부위 별로 동력원을 넣어야 했기 때문에 일부러 몸통을 나눈 것.1995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로봇 물고기 ‘찰리’나 2001년 MIT ... ...
친절한 거미씨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재료나 의학용으로 이용하는 무당거미(Nephila clavata), 자식 사랑이 특별해 애벌레를
꼬리
에 업고 다니는 늑대거미(Lycosidae) 등 거미에 대한 흥미로운 설명을 들으며 교사들은 메모도 하고 사진도 찍었다.그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끌었던 것은 바로 검은과부거미(Latrodectus mactans). 엄지 손톱만한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1858년 6월 2일에 도나티(Donati)가 발견한 혜성 1859년 9월 29일에 근일점을 통과했으며
꼬리
의 길이는 50°에 달했다주기는 약 1900년으로 추산되었다1926~미국의 물리학자 1946년에 케이스 공과대학 졸업, 1949년에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같은 해 미시건 대학 교수, 1959년 캘리포니아 대학 ... ...
미리내에 거대한 용이 산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떨어져 있다. 검은 용의 길이는 대략 7광년이라고 추정된다. 빛으로 가도 주둥이에서
꼬리
까지 7년이나 걸리는 용이 어떻게 태어났을까.NGC6559는 별들이 태어나는 영역으로 유명하다. 용을 빼닮은 검은 구조는 주변 빛을 흡수하는 차가운 먼지가 우연히 만든 모양이다. 용이 누비고 다니는 은하수가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