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번째 질문_세포, 친구 따라 강남 간다?발생학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질문은 ‘배아의 세포가 어떻게 특정한 기능과 모양을 가진 성체 세포로 분화하는가’입니다. 꿈도 많고 하고 싶은것도 많은 초등학생이 하나의 직업을 가진 성인으로 자라듯이, 배아세포 역시 장차 성체의 여러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싶어 한다. 하지만 암호학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보다는 수학을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수학적인 성숙도가 꼭 필요하다.진로기업이나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같은 국책연구소에서는 암호와 보안 인력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양자컴퓨터에 대응해 새로운 ... ...
- Part 2. [음악] 작곡부터 오페라 공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작곡이론으로 악보를 수정해요. 이봄 안에는 화성이나 리듬 등 작곡을 하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들이 입력돼 있어요. 마구잡이로 만든 악보가 작곡이론에 맞는지를 확인하면서 수정하는 걸 반복하며 멜로디를 완성한답니다.이렇게 멜로디가 완성되면 다음 과정은 평가예요. 평가 기준은 사용자의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싶었어요.”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바이오자성융합센터장)는 물질이 가진 기본 성질 중 하나인 ‘자성’을 응용해서 질병진단기술을 개발하는 융·복합 연구자다. 그는 올해 3월 거미집을 모방해 기존보다 20배 빠른 바이오센서를 개발해 주목 받았다. 특히 이 연구 결과는 7년 동안 함께 ... ...
- [수학공감] 수학, 놀이가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좋았어요”라며, “무조건 공식을 외우지 않고 교구로 만든 도형의 넓이를 구해 보니 기본 원리를 잊지 않을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김 교사는 앞으로 수업에 교구를 꾸준히 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학생들은 계산을 할 때 위축되는 경향이 있는데, 손으로 무언가를 만지작거리면서 하니까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칼슘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도자기의 표면에 광택을 내는 역할을 한다.유약의 색은 기본 재료에 추가로 다른 재료를 넣어서 만든다. 황 교수가 이번 실험을 위해 제작한 유약은 커피재를 넣었다. 커피를 추출하고 남은 분말을 건조한 뒤 태워서 유기물을 제거하고, 곱게 갈아서 다른 재료와 섞은 ... ...
- [수학공감] 수학을 나눠 마음을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학생들이 잘 집중하지 못해서 동영상 강의를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수업시간에는 기본 개념을 실생활과 연계해 재미있게 가르치려고 노력해요. 문제 풀이는 학생들이 태블릿PC를 보며 스스로 집중해 학습하도록 하지요.” 일석이조 연계 멘토링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광릉중학교에서는 ...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도중 여성 경구 피임약과 유사한 부작용이 나타나 연구가 중단됐다). 『남성 생식은 기본 메커니즘조차 파악하지 못한 경우가태반이다. 대부분의 연구자금은 여성 생식 연구에 투자된다』 이런 이유로 1세대 피임약 에노비드10은 에스트로겐 함량이 50μg(마이크로그램, 100만 분의 1g) 이상이었지만,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9시에는 요금을 비싸게, 깊은 밤이나 집을 비우는 낮 시간에는 요금을 싸게 한다는 기본 원리를 게임이론에 적용해 전기요금 체계를 개발했습니다. 그 결과 가구가 부담하는 전기요금을 이전보다 낮출 수 있었습니다.외판원 문제로 원자로 정비기간 단축!2016년 국가수리과학연구소(수리연)는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1/4로 V= , 즉75%보다 많은 사람이 백신을 맞아야 질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홍역의 경우 기본감염재생산수가 약 15이기 때문에 V=1- 1/15로 계산하면 약 94%보다 많은 사람이 백신을 맞아야 질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좀 더 정확하게 구할 때는 백신의 효과를 추가로 고려한다.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