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동시키는 기능에만 초점을 맞췄다면 철도연은 스스로 물건을 인식해서 적재하는 기능까지 더했다. 이를 위해 로봇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했다. 물건의 종류와 모양, 크기 등을 파악하고 분간해 원하는 물건을 집어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물건을 배달 순서에 맞춰서 적재하는 기술도 연구 중이다.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식 기능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며, 이런 연구는 우리 뇌의 신비로운 기능을 한층 깊게 이해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데이터만 바꾸면 대충 쓸 만한 결과가 나오는 상황에서, 앞으로는 공개된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해 더 좋은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이다. 알파고 기술을 활용한 실질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는 구글 딥마인드 팀조차도 아직 완성하지 못했다. 알파고 제로의 강화학습 방법은 양질의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생체시계를 갖거나 아예 그 주기성을 잃어버린다. 이 연구 결과는 유전자 하나하나의 기능이 동물 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증명했을 뿐만 아니라,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홀, 로스배시, 영 교수의 생체시계 유전자 연구의 뿌리가 됐다. 안타깝게도 벤저 교수와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속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올해 수상자 목록에 올랐다. 치즈를 싫어하는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연구해 뇌가 혐오감을 느끼는 과정을 연구한 장-피에르 로이트 프랑스 리옹신경과학연구센터 박사팀이 의학상을 받았고, 나이 든 남자의 귀가 큰 이유를 연구한 영국의 물리학자 ... ...
- [과학뉴스] 전세계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 검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성분이 발견됐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척추동물의 면역 기능이나 생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특히 이번 연구 결과에서 파악된 샘플 중 34%는 벌에게 위해한 농도의 네오니코티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전 세계 벌의 상당수는 ...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측두엽의 피질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얇았습니다. 이 부위는 감정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합니다(doi:10.1016/j.concog.2015.04.020). 일각에서는 귀 벌레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당 곡의 가사를 글로 쓰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합니다. 주의를 돌린다는 점에서는 일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잃어버린 신체 부위를 각종 기계장치로 교체한다. 하지만 사이보그는 잃어버린 신체 기능을 최대한 회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신체 능력을 업그레이드시킨다. 이와 유사한 설정은 사이보그가 등장하는 SF(공상과학) 영화인 ‘600만 불의 사나이’ ‘로보캅’ ‘공각기동대’ 등에도 등장한다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의 원자 수준의 해상도로 구조를 파악하면 생체 분자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과 유전자 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다.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lectron Microscopy)이 등장하기 전까지 과학자들은 주로 X선 결정학과 핵자기공명법(NMR)에 기댔다. 이 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초파리와 마찬가지로 이상한 신체 패턴을 보이는데요. 예를 들어 ‘HOXD3’ 유전자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첫 번째 목뼈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해 두개골과 부분적으로 붙어 버립니다. 혹스 유전자의 정상적인 발현을 방해하면 팔과 다리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고, 팔이 4개가 만들어질 수도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