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때문이다. 상형문자는 문자가 뜻하는 대상을 그림으로 표현했기 때문에 특별한 규칙을 외우지 않아도 쉽게 익힐 수 있다.과학자들은 침팬지와 대화하기 위해 특별한 그림문자를 고안했다. 이를 ‘렉시그램(Lexigram)’이라고 부른다. 미국 에모리대 여키스국립영장류연구센터 듀에인 던보 박사는 120여 ...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6년 05호
- , 3, 5, 7, 11, 13, … 으로 이어지는 소수에 어떤 규칙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많은 수학자가 노력했지만,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소수를 어떤 수로 나눴을 때 생기는 나머지는 주사위의 확률처럼 균등하게 나타날 거라고 추측했지요. 그런데 최근 이런 예측을 뒤엎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소수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논리게이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걸까. 두 회로를 뚫어져라 쳐다보니 여기도 일종의 ‘규칙’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유전자회로에서는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1, 안되면 0의 값을 갖는다. 유전자의 활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것이다. 유전자 발현에 의해 활성화된 단백질은 또 다른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특징은 단 한 가지였다. 그것은 결코 먼저 배신하지 않는 ‘신사적’ 특성이다. 신사적인 규칙은 비신사적인 것들과 100점 이상의 점수 차이를 보였다.’정리하자면 한 번의 기회만 주어질 때는 배신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번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먼저 배신하지 않는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얼굴색이 변하는 것이 눈에 보인다. 이를 통해 심장이 1분에 몇 번 뛰는지, 얼마나 규칙적인지 측정할 수 있다. 이것은 원격 의료 분야뿐만 아니라 범죄 수사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의심은 가지만 증거가 없는 용의자가 있다고 하자. 이 기술을 활용하면, 센서를 붙일 필요 없이 용의자를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머리의 색깔도 정상 쐐기노린재와 비교해 확연히 달랐다. 머리가 훨씬 검고 무늬가 불규칙했다. 스위스 남부의 티씨노(Ticino)주에서는 더듬이의 일부가 자라지 않고 부드러운 상태로 남아있는 기이한 곤충들이 발견됐다. 조사결과 이런 방사능 낙진은 바람을 타고 유럽 전체로 퍼졌다.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μm(100만 분의 1m) 단위로 크기가 작은 꽃가루는 역학적으로 평형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꽃가루가 브라운 운동을 할 때 움직이는 거리를 구하는 수학식을 단순화시켰다. 이 식으로 얻은 값은 실제로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와 거의 비슷하게 ... ...
- Part1. 난수, 넌 누구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선택하고 그 숫자를 기준으로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읽어 내린다. 그러면 규칙을 알 수 없는 수가 연속으로 나온다.난수표는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군대가 처음으로 만들어서 사용했다. 암호로 쓰기 위해서였다. 전달하려는 말을 난수표에 있는 숫자암호로 바꿔 보안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초등_소수의 나눗셈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쓰는지 알아봅시다. 그리고 새로운 나눗셈 방법도 살펴보겠습니다.소수는 자연수와 같은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분수보다 나눗셈 연산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마치 자연수처럼 나눗셈 연산을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소수는 분수를 위치적 기수법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위치적 기수법이란 숫자가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악어’로 바꿀 수는 없다. 국제동물명명위원회에는 한 번 지은 이름은 바꾸지 않는다는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맹수 악어, 초식 악어, 돼지코 악어…가장 오래된 위악류는 지금으로부터 약 2억5000만 년 전인 전기 트라이아스기 때 등장했다. 오르니토수쿠스(위 공룡들 중 첫번째)는 오늘날의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